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지난해 대기중 다이옥신 2001년 대비 65% 감소

경기도내 대기 중 다이옥신 평균농도가 조사시작 10년 만에 3분의2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원장 이정복)이 발표한 2012년도 다이옥신 오염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 대기의 다이옥신 평균농도는 0.196pgTEQ로 2001년 0.555pgTEQ에 비해 65%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내 토양과 하천의 다이옥신 농도 결과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반월스마트허브(구. 반원산단) 4곳, 시화스마트 허브(구. 시화산단) 4곳, 포승산업단지 2곳 등 토양 오염이 의심되는 도내 10곳의 다이옥신 농도는 토양 1g 중 평균 0.824pgTEQ로 일본 환경기준(1,000)의 1/1000 수준이다.

또 경안천, 청미천, 복하천, 신천 등 도내 주요 13개 하천에 대한 수질조사결과 역시 1L당 평균 0.158pgTEQ, 퇴적토는 1g당 1.097pgTEQ로 일본의 하천수질(1)과 퇴적토(1,000) 기준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대기환경기준치인 0.6pgTEQ보다도 훨씬 낮은 수치”라며 “조사를 시작한 2001년 이후 계속 다이옥신 농도가 낮아지고 있어 경기도 대기가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