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국어교육학자 이응백 교수 별세


해방 이후 중ㆍ고교 교단과 서울대에서 '우리식 국어교육'에 매진한 원로 국어교육학자 이응백 서울대 명예교수가 29일 오전4시40분께 서울 강남성모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7세. 경기 파주 출신인 이 교수는 지난 1949년 서울대 사범대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하고 1974년 서울대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57년부터 1988년까지 국어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이 교수는 한국국어교육연구회장, 서울대 부설 방송통신대학장, 한국수필문학진흥회장, 전통문화협의회장, 한국어문회 이사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국어교육사연구(1975)' '자료를 통해 본 한자ㆍ한자어의 실태와 그 교육(1988)' '방송과 언어(1988)' 등이 있다. 이 교수는 수필과 시조 창작에 남다른 관심을 보여 시조집 '인연(1992)'과 문집 '여적(1983)', 수필집 '기다림(1988)' '묵은 것과 새것(2008)' 등 10여권의 작품집을 내기도 했다. 유족으로는 아들 선중(자영업)씨와 손자 상돈(서울대 법대생), 상협(서울대 의대생)씨 등이 있다. 빈소는 강남성모병원 장례식장 2호실이며 발인은 31일 오전 8시, 장지는 남양주시 진건읍 신월리 선영으로 정해졌다. (02)2258-595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