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누구 말이 맞나"…서울시-복지부-메르스 감염 의사 진실공방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삼성서울병원 의사(38)가 의심 증상이 있었음에도 1,000여 명이 넘는 사람과 접촉했다는 서울시 주장에 복지부와 해당 의사가 정면으로 반박했다.

5일 서울시, 복지부, 삼성서울병원 의사인 35번 환자의 주장을 살펴보면 환자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기 전 증상 발현 시기, 이동 경로에 대해서는 대체로 이견이 없다.


35번 환자는 지난달 29일부터 미열이 났고 30일 기침이 시작됐다.

가벼운 기침이 있었지만 그는 30일 오전 9시∼낮 12시 서울 강남의 한 대형병원 대강당에서 열린 국제 의학심포지엄에 참석했다.

이후 그는 집에 머물다가 오후 6시부터 1시간 동안 가족과 함께 대형쇼핑상가인 가든파이브의 한 음식점에서 식사를 했고 오후 7시부터는 강남구 양재동의 L타워에서 열린 재건축조합 총회에 참석했다.

고열, 가래, 심한 기침이 시작된 31일 그는 몸 상태가 좋지 않음을 느끼고 퇴근해 집에 있었고 잠을 충분히 잤음에도 상태가 좋아지지 않자 메르스 의심 증상임을 인지했다.

이후 그는 자신이 속한 병원의 격리 병실에 있다가 이후 국가 지정 격리 병상으로 옮겨졌고 1차 검사와 2차 검사를 거쳐 지난 3일 최종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기본적으로 29일부터 메르스 의심 증상이 있는 35번 환자가 아무런 조치 없이 쇼핑센터를 돌아다니고 대형 행사에 참석해 서울 시민이 메르스 감염 위험에 노출됐다고 주장한다.


또 서울시는 35번 환자가 증상이 매우 심해진 31일 오전에도 심포지엄에 참석했다고 말한다.

관련기사



그러나 35번 환자는 “서울시는 내가 마치 의심 증상이 나타난 상황에서 행사에 참석해 바이러스를 전파한 것처럼 말하는데 29일날 기침은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어 그런 것이고 30일 저녁에 약간에 몸살 기운은 잠을 충분히 못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반박했다.

당시 증상을 메르스 의심 증상으로 전혀 볼 수 없었고 의사로서 메르스 의심 증상을 충분히 판단할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그는 “31일 오전 회진을 돌고 그날 11시쯤에서야 이전과 다른 몸의 이상을 느껴 바로 병원 감염 관리실에 연락을 취했다”며 “31일 오전 심포지엄에는 참석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서울시와 복지부의 주장이 크게 엇갈리는 점은 35번 환자에 대해 양측이 언제부터 환자 이동 경로와 상태, 관련 대책을 제대로 공유했느냐 하는 부분이다.

서울시는 “35번 환자 발생과 관련 3일 오후 서울시 공무원이 복지부 주관 대책회의 참석하는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인지하게 됐다”고 말한다.

아울러 “4일에 추가적인 메르스 확산을 위해 복지부에 사실 공표와 대책 마련을 지속적으로 요구했지만 복지부는 환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도 없었고 이후 L타워에 참석한 행사 참석자 명단도 확보하지 못한 상태였으며 이들도 수동 감시를 하겠다는 의견을 보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문형표 복지부 장관은 5일 오전 브리핑에서 “지난달 31일 역학 조사가 시작되는 과정에서 질병관리본부와 서울시 역학조사관이 단체 정보공유 SNS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했다”고 해명했다.

복지부가 공식적으로 환자 상태를 통보하기 이전이라고 해도 서울시가 환자 발생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고 관할 보건소에서 해당 환자의 신고를 받고 메르스 검사 대상물을 채취했기 때문에 이를 서울시가 알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문 장관은 “행사 참석자는 전수 조사를 통해 자가 격리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며 “행사 참석자 명단을 지난 2일 해당 조합에 명단을 제출해달라고 했으나 자료 제출을 거부해 서울시 측에 명단 확보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