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5월 14일] 중국 지진참사 복구 지원에 적극 나서야

중국 쓰촨성에 리히터 규모 7.8의 강진이 발생해 엄청난 피해를 냈다. 현재 사망자만도 1만여명에 이르고 수만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수많은 건물이 무너져 내렸다. 이번 지진의 강도가 지난 1976년 최소한 24만명의 사망자를 낸 탕산 지진과 같은 수준이어서 피해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업 중이던 어린 학생 등 수많은 사람이 참변으로 고귀한 생명을 잃은 것은 안타깝고 가슴 아픈 일이다. 쓰촨성은 우리 관광객도 많이 찾는 곳이고 현지진출 기업과 교민도 적지 않다. 아직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인명피해가 없다니 그나마 다행이다. 지진이 발생하자 중국 정부는 원자바오 총리의 재난지역 급파, 후진타오 국가주석의 인민해방군 투입 긴급 지시 등 구조와 복구에 총력을 기울였으나 워낙 피해가 커 사태의 조기 수습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진의 후유증도 적잖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80여일 앞으로 다가온 베이징올림픽이 차질을 빚지 않을까 하는 지적이 나오고 있으며 경제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올림픽은 이미 베이징의 대기오염, 티베트 사태 등으로 곡절을 겪고 있는데 이번 지진으로 안전성 문제까지 불거질 수 있다. 지진발생 지역이 베이징과 멀리 떨어져 있고 경기장 등 주요 시설의 피해도 없지만 중국 정부 수뇌부가 직접 나서 사태수습을 지휘하고 있는 것은 이런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에 미칠 충격도 문제다. 쓰촨성의 중국경제 비중이 3.9%에 불과하고 오지여서 물류비중도 미미하다. 그러나 올 초 폭설에 이어 대규모 지진까지 발생함으로써 심리적 불안감이 높아져 그렇지 않아도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더욱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 중국의 인플레이션은 세계 경제는 물론 우리 경제에도 부담 요인이다. 인도적 차원은 물론 경제타격 최소화를 위해서도 지진 피해의 신속한 복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적 협조와 지원이 절실하다. 미국과 일본이 재빨리 돕겠다고 나서는 등 세계 각국이 앞 다퉈 지원의사를 밝히고 있다. 우리도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경제 등 여러 면에서 중국과의 불가분한 관계를 고려해서라도 지진참사 복구를 위한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