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초당적 경제협력 말로 그치나

대선의식 잇단 제의속 수용은 꺼려 여ㆍ야ㆍ정 정책협의회의 부활이 절실하나 당리당략으로 인해 협의회의 재가동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경제위기 불안감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정치권에서 여ㆍ야ㆍ정 협의회 재가동 제의 등 각종 제의 경쟁을 벌이면서도 상대당의 제의에 대해 '대선용'이라고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의 경제상황을 감안하면 초당적인 경제협력이 불가피하나 각 정당이 대선전략을 의식,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제의만 일삼고 있는 셈이다. 먼저 이회창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는 지난 11일 각 정당과 정부ㆍ경제단체 등이 참여하는 '비상경제대책기구'를 설치할 것을 제의했고 한나라당은 12일에도 각 정당에 이 제의의 수용을 촉구했다. 이러면서 이 후보는 "김대중 대통령과 만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이날 김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 후보, 이 한나라당 후보간 '경제영수회담'을 제의하고 나섰다. 여ㆍ야ㆍ정 정책협의회 재가동 제의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임채정 민주당 본부장은 "이 후보의 기구 구성 제의와 정몽준 의원의 참여에는 반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정 의원측은 이 후보의 비상경제대책기구 제의에 대해 "현재의 여야관계를 감안할 때 진지성이 의문시된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물론 정치권의 이 같은 '경제문제 초당적 협력' 목소리에 대해 청와대는 이날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그러나 각 당이 협의기구 구성방식 등에서 대선전략과 연결시키려 한 '저의'를 드러내는 제의 경쟁만 일삼아 실제 초당적 협력을 위한 기구나 모임의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고 설사 이뤄진다고 해도 실질적인 합의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