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하수 수질측정서 6.9% 기준 초과

환경부는 지난해 전국 4,827개 지하수의 오염 현황을 측정한 결과 6.9%(335개)가 수질기준을 초과해 전년의 수질기준 초과 비율보다 1.5%포인트 늘었다고 12일 밝혔다. 수질기준을 넘은 335개 지하수를 유형별로 보면 각 지방환경청이 측정하는 오염 우려 지역이 140개(1,450개 중 9.7%), 시ㆍ도가 관리하는 일반 지역이 131개(2,421개 중 5.4%), 국토해양부의 국가관측망이 64개(956개 중 6.7%)였다. 오염 우려 지역 중 공단이나 도시 주거지역에 있는 지하수에서는 유독성 발암 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이 기준치 이상 검출돼 다른 지역보다 유기용제 오염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농업용수 사용 지역과 분뇨처리장 인근 지역 지하수에서는 질산성질소와 일반세균의 기준 초과율이 높았다. 일반지역 지하수에서는 대부분 일반세균ㆍ질산성질소ㆍ대장균군 등 일반 오염물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