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4월 무역흑자 44억$…1분기 합계보다 11억$ 많아

선박ㆍ반도체 수출 동시에 40억$ 첫 돌파 '쌍끌이'

무역수지가 3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우리나라 주력상품인 선박과 반도체의 수출이 호조세를 보인 영향이 컸다. 2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4월 수출입동향'을 보면 지난달 우리나라의 수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31.5% 증가한 398억7,600만 달러, 수입은 42.6% 늘어난 354억6,600만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 이로써 4월 무역수지는 44억1,000만 달러 흑자로, 3월(18억1,000만 달러)보다 2.4배 많을 뿐 아니라 올해 1분기에 기록한 전체 흑자액보다도 11억 달러가 많았다. 무역수지가 이처럼 큰 폭의 흑자를 기록한 것은 우리나라의 주력 품목인 선박과 반도체가 사상 처음으로 동시에 월간 수출액 40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쌍끌이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선박 수출액은 해양 플랜트 분야의 호조에 힘입어 42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반도체 수출액은 세계시장의 휴대전화 수요 증가 등으로 41억9,000만 달러를 달성했다. 가공품인 석유화학과 석유제품 수출액도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출단가가 올라 작년 동기대비 각각 35.2%, 72.8% 증가한 31억4,000만 달러와 27억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다만 무선통신기기 분야에선 스마트폰을 제외한 일반 휴대전화의 평균 판매가격이 하락, 수출이 다소 부진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 수출 증가율은 중국 50.4%, 아세안 42.4%, 일본 32.4%, 미국 28.5%로,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에서 모두 높아졌다.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에도 EU(유럽연합)에 대한 수출이 15.2% 증가한 것도 눈에 띄었다. 수입액은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 탓에 원유가 65.6%, 석유제품 90.4%, 가스 89.3%, 석탄이 39.5% 증가하는 등 연료 수입이 증가했다. 열연강판, 철근 등 철강제품과 동괴, 알루미늄괴 같은 비철금속 수입도 각각 46.4%, 80.4% 상승했다. 수출용 자본재에 속하는 반도체장비 수입 증가율(451.1%)이 두드러졌으며 항공기 부품이 111.5%, LCD 제조용 장비가 201.6%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대(對) 중국 수입이 45.6% 증가한 것을 비롯해 미국(81.7%), 일본(34.3%), 아세안(39.3%), EU(20.3%) 등 전 지역에 걸쳐 수입량이 많아졌다. 지경부는 “5월 이후 무역 여건은 원화절상, 원자재가격 상승 등 불안요인이 있지만 해외 수요가 회복하는 추세이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력품목의 수출이 확대돼 1분기보다 2분기의 무역흑자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