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공항공단 주차장 횡포

한국공항공단 주차장 횡포 한국공항공단이 전ㆍ현직 대통령 등 특정인에게만 무료 개방토록 돼 있는 의전주차장을 국회의원, 기업체 사장에게도 개방하고 직원전용 주차장도 과다 이용하면서 일반 주차요금은 올려 받아 비난을 받고 있다. 14일 한국공항공단에 따르면 건설교통부는 부령을 통해 국제공항에만 의전주차장을 별도 운영하고 무료 이용대상자도 일반고객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전ㆍ현직대통령과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으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지방공항들이 의전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울산공항의 경우 전체 주차장 530면 가운데 14면을 의전주차장으로 별도 운영하면서 지역 국회의원과 시의회의장, 시장은 물론 기업체 사장 10여명, 시ㆍ구의원, 검찰청 직원에게도 개방하고 있다. 게다가 정직원이 24명인데도 청원경찰 70명 등 용역업체 직원 79명을 직원으로 분류해 전체 주차장의 20.7%인 110면을 직원전용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반면 승객용 일반주차장의 경우 지난 1990년부터 24시간 주차시 2만원을 받다가 지난해초부터 시간당 1,000원씩, 10시간~24시간 장기 이용자에게는 1만원을 받고 있다. 부산 김해공항도 사정은 마찬가지. 전체 국내선 주차장 940면의 7.4%인 72면을 의전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국회의원, 시장, 차관급이상 기관장, 차장검사, 4년제 대학총장, 외국사절은 물론 관할 강서구청장에게도 특전을 부여하고 있다. 김해공항은 국내선 일반주차장의 경우 지난 98년이전 하루 2만원의 주차요금을 받다가 5,000원으로 대폭 내렸으나 지난 9월 주차장 혼잡을 이유로 금ㆍ토ㆍ일요일의 주차요금을 7,000원으로 다시 올렸다. 광주공항은 전체 주차장 1,100면 가운데 32면을 의전용 주차장으로 할애하면서 지역 국회의원과 시장, 도지사, 법원장과 검사장은 물론 고액 및 성실납세자라는 명목아래 지역 신문사 사장, 병원장, 건설업체 사장 등 28명에게 무료 이용권을 주고 있다. 직원이 61명인 광주공항의 직원주차장도 10%인 110면에 달하고 있다. 시민들은 "공단측이 법에도 없는 의전주차장을 만들고 상당수의 주차장을 직원들이 사용하면서 승객용 주차장의 무료 개방과 인하에는 인색하다"며 "재정 손실 보전을 이유로 주차요금 인하가 어렵다는 구실도 변명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김광수기자 입력시간 2000/11/14 17:01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