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기업ㆍ영세기업간 임금차 심화

근로자 500명 이상 대기업의 임금이 영세기업의 2배로 임금격차가 해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5∼9명 규모 사업장의 근로자 임금을 100으로 했을 때 500명 이상 규모 사업장의 임금수준은 194.6으로 전년동기의 180.3, 2001년 같은 기간의 170.1에 비해 격차가 더욱 커졌다. 500명 이상 대규모 사업장의 월평균 임금은 296만8,000원으로 300만원 대에 육박했지만 5∼9명(152만6,000원)은 150만원 대를 간신히 넘었다. 임금상승률을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500명 이상 사업장이 13.6%로 가장 높았고 10∼299명 8.5%, 30∼99명 8.2%, 10∼29명 6.2%, 300∼499명 5.8%, 5∼9명 5.2% 등의 순이었다. 5명 이상 사업장의 근로자 1인 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208만8,000원으로 전년동기의190만3,000원에 비해 9.7% 증가했다. 정액급여는 139만7,000원에서 151만8,000원으로 8.6% 인상됐고 연장근로와 휴일근로에 따른 초과급여는 7.2% 오른 13만4,000원이었다. 또한 상여금 등 특별급여는 43만7,000원으로 전년동기(38만1,000원)보다 14.6% 인상됐다. 업종 가운데 운수ㆍ창고ㆍ통신업의 임금 상승률이 12.0%로 가장 높았고 건설업(11.7%)이 그 뒤를 따랐다. 그러나 제조업(9.3%)과 도소매ㆍ음식ㆍ숙박업(9.2%), 금융ㆍ보험ㆍ부동산업(9.2%), 사회개인서비스업(8.7%)은 전체 평균 임금상승률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소비자물가상승률 3.6%를 감안한 실질임금은 178만3,000원에서 189만원으로 6.0%상승했다. 또한 작년 1∼10월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97.3시간으로 전년 같은 기간의 198.8시간에 비해 0.8% 줄었으며, 주당 근로시간은 45.8시간에서 45.4시간으로 감소했다. <전용호기자 chamgil@sed.co.kr>

관련기사



전용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