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황사가 감기증상 악화" 첫 규명

아산병원 장용주 교수팀

황사가 감기증상을 악화시킨다는 사실이 실험으로 입증됐다.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용주 교수팀은 가장 흔한 감기 바이러스인 리노바이러스와 황사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논문을 국제학술지 '흡입 독성학'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12일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사람의 코 점막에서 떼어낸 상피세포를 배양해 ▦황사에 노출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 ▦황사에 노출시킨 세포 ▦리노바이러스에 노출된 세포 ▦리노바이러스 감염 후 황사에 노출시킨 세포 등으로 나눠 감기와 관련된 염증물질(IFN-γ, IL-1β, IL-6, IL-8)의 분비량을 측정했다. 실험결과 각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량이 감기 바이러스 감염 후 황사 미세먼지에 노출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분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황사와 감기 바이러스 모두에 노출된 경우에는 감기 바이러스에만 노출된 경우에 비해 감기 바이러스의 증식이 약 27.5배가량 더 증가했다.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추측으로만 알려져 왔던 황사의 위해성을 실질적으로 규명한 첫 연구성과"라며 "황사 노출의 위험성이 확인된 만큼 감기환자라면 심한 황사에는 외출을 삼가고 귀가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은 물론 식염수로 코와 목도 세척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