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노위] `택시 월급제 임금모델' 마련

택시업체 노사가 최근 총운송수입금의 50% 임금지급 정액급과 성과수당 7대3 배분 등을 골자로 하는 노동위원회의 중재안을 잇따라 수용, 시행에 들어감으로써 난항을 겪고 있는 월급제 협상에 돌파구가 열리고있다.4일 중앙노동위원회에 따르면 문화교통㈜ 등 월급제 분규를 빚었던 6개 택시업체 노사는 지난달 27일 「임금총액은 월평균 운송수입금의 50%선으로 하되 운송수입금 납부액에 따라 최소 48%에서 최대 52%까지 신축적으로 조정한다」는 내용의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중재안을 수용, 시행에 들어갔다. 이에앞서 충북 제천택시 노사도 지난달 11일 「임금총액은 월평균 운송수입금의 50%선으로 하되, 납부액에 따라 최소 45%에서 55% 까지 조정한다」는 내용의 충북지방노동위원회의 중재안을 수용했다. 중앙노동위는 이에따라 「수입금의 50%를 임급으로 지급한다」, 「기본급과 성과급의 비율은 7대 3으로 하되, 강력한 인센티브제를 도입한다」는 내용의 월급제 임금모델을 마련, 택시업체의 중재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적용키로 했다. 민주노총 산하 민주택시연맹과 한국노총 산하 전국택시노련도 중노위가 마련한 임금모델을 토대로 사용자측과의 중앙노사협의에 나서고 있어 합의가 이뤄질 경우 월급제 정착에 돌파구가 마련될 가능성이 있다고 배무기 중앙노동위원장이 밝혔다.【정재홍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