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강남 금싸라기 땅 한전 부지 '깜깜이 입찰'에 땅값 치솟나

최저 가격 아직 공개 안해 기업들 과당 경쟁 가능성

낙찰 후 후유증 겪을 수도

서울 강남의 금싸라기 땅인 삼성동 한국전력공사 본사 부지 매각 절차를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매각 주체인 한전이 내부적으로 정한 입찰 최저가격을 공개하지 않은 채 '깜깜이' 입찰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공기업이 감정가격만 3조3,000억원이 넘는 부지를 매각하면서 최저가격까지 제시하지 않아 참여업체들의 과도한 경쟁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오는 17일 마감되는 삼성동 사옥 부지 매각 입찰을 앞두고 회사 측이 정한 최저입찰가격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한전 부지 입찰은 17일 오후4시까지 진행된 뒤 다음날인 18일 오전10시 낙찰자 선정이 이뤄진다. 한전은 지난달 29일 입찰공고 과정에서 부지의 감정평가액인 3조3,346억원을 공개했지만 정작 입찰 유효 여부를 가리는 커트라인은 비공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전 측은 입찰 결과가 공개되기 전까지 최저가를 한국자산관리공사 전자자산처분 시스템인 온비드(www.onbid.co.kr)에만 입력하면 되기 때문에 절차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입찰 예정가격이 공개되지 않으면서 시장의 혼선은 오히려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자칫 입찰 자체가 성사되지 않거나 과도한 경쟁으로 땅값이 치솟아 낙찰 후 심각한 후유증을 겪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입찰 최저가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입찰이 진행되면 A기업이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하더라도 그 가격이 최저가보다 낮을 경우 유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전이 최저낙찰가를 3조7,000억원으로 정했다면 A기업이 3조6,000억원, B기업이 3조6,500억원을 적어내 한쪽이 우세하더라도 유찰될 수밖에 없다. 즉 입찰 참가기업들은 상대방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응찰해야 하는 것은 물론 한전이 내부적으로 정한 최저가격을 미리 짐작해 이보다 높은 응찰가를 내놓아야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입찰 최저가를 모르는 상태에서 입찰 기업들이 감정가격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써낼 수 있어 땅값이 과도하게 인상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전 부지 개발은 앞으로 10년간 최소한 10조원 이상의 자금이 투입돼야 한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어 땅값이 치솟으면 낙찰기업의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한전 부지 개발 사업은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일대 7만9,342㎡의 면적을 탈바꿈하는 사업으로 용적률 800% 이하에 기부채납 40%가 각각 적용된다. 서울시는 한전 부지를 포함해 COEX~한전 부지~서울의료원~잠실종합운동장 72만㎡ 일대를 국제교류복합지구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