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립선암 유전성향 높다

직계가족 중 전립선암 환자가 있다면 다른 가족도 전립선암에 걸릴 확률이 가족력이 없는 사람에 비해 최소 2배 이상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대학 모리스 제거스 박사는 미국 의학전문지 `암(癌)` 최신호 인터넷판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지금까지 발표된 전립선암에 관한 연구보고서(33건)를 분석한 결과 직계가족 안에 전립선암 환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다른 가족들이 같은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졌다고 주장했다. 직계가족 중 전립선암 환자가 한 명일 경우 다른 가족의 전립선암 위험은 2배, 2명 이상일 경우 5배까지 높아진다고 그는 설명했다. 특히 아버지가 전립선암일 때 아들은 2배, 형제 중 전립선암 환자가 있으면 3배가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다만 직계가족이 아닌 먼 친척 중에 전립선암 환자가 있는 경우는 전립선암 위험이 약간 높아질 뿐이라고 제거스 박사는 말했다. 따라서 직계가족 중 전립선암 환자가 있을 경우 다른 가족들도 위험이 높다고 보고 일찍부터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를 자주 받아야 할 것이라고 그는 경고했다. 미국암학회는 일반인은 50세부터, 흑인과 전립선암 가족력이 있는 남자는 45세부터 매년 PSA검사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PSA는 전립선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로 혈중 PSA수치가 4mg/mL(밀리리터당 나노그램) 이상이면 전립선암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이다. <박상영기자 sane@sed.co.kr>

관련기사



박상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