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들 “경기진작책 필요”

국내 기업들이 경기 악화 가능성을 심각하게 우려, 정부가 무역금융 활성화 등 강도 높은 `경기진작 정책`에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정부는 그러나 지난 20일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에 대한 경제현안 보고에서 인위적 경기부양보다 안정 운용에 치중하겠다고 밝혀, 금융정책을 둘러싼 정-재계간 조율 결과가 주목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1일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기업금융 여건 회고와 전망`에서 기업들은 올해 금융 3대 불안요인으로 ▲경기악화(16.1%) ▲가계대출 불안(13.4%) ▲국제금융시장 불안정(11.8%)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이에 따라 차기 정부가 올해 역점을 둬야 할 기업금융 부분의 최우선 정책으로 경기진작(29%)을 들었다. 중견그룹 고위 관계자는 “무역금융 규제 완화와 대출조건 완화 등을 위한 정부의 전향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은 또 소비진작을 위한 가계 대출 정책과 부동산 규제 완화 조치 등도 아울러 요구했다. 기업들은 이밖에 ▲금리 하향안정화 ▲증시안정 ▲충분한 유동성 공급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은 불투명한 경영환경에 따른 재무 관리를 위해 매출이익 극대화(21%)를 최우선 주력 과제로 삼았다. 반면 외환위기 이후 최우선 순위였던 재무구조개선(17%)과 유동성 확보(15%)는 뒤로 밀렸다. <김영기기자 young@sed.co.kr>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