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뉴욕증시> 경기부양책 기대감에 상승

뉴욕증시가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3일(현지시각) 뉴욕증시는 전날과 달리 경제지표는 부진했지만,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9.82포인트(0.25%) 오른 11,896.4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6.29포인트(0.5%) 상승한 1,260.34를, 나스닥 종합지수는 23.83포인트(0.89%) 올라간 2,693.07을 각각 기록했다.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는 부진했지만, 장 후반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추가 양적완화(QE) 조치 등 경기 부양 대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얘기가 나와 증시가 반등에 성공했다. 블룸버그는 연준이 경기 둔화를 차단하기 위해 3번째 국채 매입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하는 7월 서비스업(비제조업) 지수는 52.7을 기록, 전월의 53.3보다 하락했고 시장 예측치 53.5에 미치지 못했다. 이 지수가 50을 넘으면 서비스업 경기가 확장 국면에 있음을 나타낸다. 신규 주문 지수는 2009년 8월 이후 최저치인 51.7로 떨어졌고 고용 지수는 3개월래 최저치인 52.5로 하락했다. 7월 미국의 민간 비농업부문 고용은 11만4천명 증가해 전문가들의 전망치 10만명을 웃돌았지만 전월의 증가 규모 14만5,000명에는 미치지 못했다. 미국의 제조업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지표 가운데 하나인 공장주문 실적은 하락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6월 공장주문 실적이 전월보다 0.8% 떨어졌다. 5월 공장주문 실적은 당초 0.8% 증가한 것으로 잠정치가 발표됐으나 이날 발표된 통계에서는 0.6% 증가로 수정됐다. 유럽에서는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국채 발행이 한계에 도달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국채 금리가 당분간 가파르게 오를 것이라는 예상이 많아 이들 국가의 자력 자금 차입이 힘들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