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TOD 동영상 폭발상황은 왜 안찍혔나

[합조단이 밝힌 사고 당시 상황]<br>남는 의문점<br>핵심정보체계 가동 불구 초기 사고시각 뒤죽박죽

군이 7일 천안함 침몰 사고 시각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생존자를 언론에 공개했지만 풀리지 않는 의혹은 여전히 많다. 일부 문제점은 오히려 더욱 불거졌다. 민군합동조사단은 이날 백령도 해안경비병이 촬영한 열상감시장비(TOD) 동영상과 별개로 해병 6여단 상황실에서 영상기록장치(DVR)로 사고 현장을 자동 녹화한 동영상을 확보해 추가 공개했다. 수동으로 찍은 동영상만 찾다가 뒤늦게 발견했다는 게 군의 해명이었다. 하지만 군은 지난달 30일과 이달 1일 TOD 동영상을 공개하면서 "더 이상은 없다"고 단언했다. 그런데 이 동영상은 배가 정상 기동하고, 함수(艦首) 함미(艦尾)가 분리된 이후 침몰하는 장면은 있지만 공교롭게도 군이 주장하는 사고 시각(오후 9시22분)에 천안함이 절단되는 결정적인 장면은 빠졌다. 벌써 세 번째 공개이지만 의문이 가는 대목이다. 군은 동영상을 공개하면서 화면에 표시된 시각이 정시보다 1분40초 빠른 것이라고 했다. 해군 해안경비병의 TOD를 공개하면서 2분40초 빠른 것이라고 했는데 1분이나 차이가 난다. 반면 이날 최원일 천안함장은 사고 당시 해군전술지휘체계(KNTDS) 모니터상에 표시된 시각을 마지막으로 기억하는 게 오후 9시23분께라고 했다. KNTDS에서 천안함이 사라진 시각(9시21분57초)을 감안하면 정시보다 1분 늦는 셈이다. 이처럼 모든 시계가 뒤죽박죽인 상황에서 유사시 분초를 다퉈야 하는 합동 작전이 가능할지 의문이다. 사고발생 시각에 대한 군 내부의 보고 과정도 석연치 않다. 백령도 방공진지는 오후 9시16분께 미상의 큰 소음을, 천안함 포술장은 오후 9시28분께 침몰 사실을 해군 2함대 사령부에 보고했다. 하지만 해군2함대사는 이처럼 두 가지 상황이 접수된 상태에서 오후 9시30분이라고 해군작전사령부에 유선 보고했다. 반면 해작사는 방공진지에서 청취한 소음을 천안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 합참에 팩스로 사고시각을 오후 9시15분이라고 보고했다. 그런데도 합참은 2함대사에서 유선으로 상황을 접수한 오후 9시45분을 사고발생 시각으로 혼동해 발표했다. 이쯤 되면 보고체계 혼선으로 넘길 수 없는 문제다. 또 오후 9시16분에 방공진지에서 포착한 소음의 정체도 아직 불명확하다. 천안함이 사고 수역으로 이동한 것과 관련, 합조단은 "특수 임무나 피항이 아닌 정상임무 수행 중"이라고 했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이 4일 "파도가 높아 피항했다"는 발언과 배치된다. 김 장관이 허위 보고를 받았거나 사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