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저축銀 부실 때문에" 신불자 재기 돕는 금융상품 출시도 늦어져

저축은행 부실문제가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재기를 돕는 서민금융상품 출시를 가로막고 있다. 부실문제 처리가 가닥을 잡을 때까지 상품 출시도 늦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감독당국과 저축은행ㆍ캐피털사들은 신용회복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성실히 빚을 갚은 금융채무 불이행자들을 상대로 '뉴 스타트론(가칭)'을 다음달 초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저축은행 부실문제 처리로 불똥이 튀면서 올 상반기 이후로 미뤄졌다. '뉴 스타트론'은 신용회복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빚을 2년간 성실히 갚아나간 금융채무 불이행자에게 1,000만원 범위 내에서 연 19%의 금리로 대출해주는 상품으로 금융감독원이 후원하는 사회적 기업인 '한국 이지론'을 통해 출시할 예정이었다. 저축은행과 캐피털사 3~4곳이 우선 참여해 시범 운영한 후 취급 금융사를 더 늘릴 계획이었지만 저축은행 부실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출시 자체가 연기됐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 부실처리 문제로 뉴 스타트론의 출시가 상반기 이후로 미뤄졌다"며 "가급적 이 상품의 출시를 앞당길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출시 시기가 늦어지는 만큼 신용보증을 통해 대출금리를 더 낮추는 등 상품을 보완해 출시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한국 이지론의 조사 결과 금융채무 불이행자들이 제기에 필요한 금액은 평균 680만~720만원 사이다. 현재 이들이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곳은 신용회복위원회의 300만원이 전부다. 사실상 신용등급이 사라진 이들로서는 타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을 수 없어 신복위의 대출을 받더라도 나머지 금액을 구하기 위해 다시금 사채 등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뉴 스타트론의 전산 및 여신관리 시스템 등 상품 출시 준비가 마무리됐음에도 저축은행 부실 문제로 연기됐다"며 "성실히 빚을 갚아도 재기에 필요한 자금 부족으로 다시금 신용불량자로 전락하지 않도록 이른 시일 내에 상품출시가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