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왕복선 컬럼비아호 참사를 계기로 미국의 항공 우주사업이 전면 확대 개편이냐 아니면 무기한 후퇴할 것이냐를 두고 심각한 기로에 서 있다.
일부에선 이번 비극이 그동안 우주사업을 총괄하는 미 항공우주국(NASA)의 예산 삭감에 직간접 원인이 있는 만큼 차제에 정부 예산을 대폭 늘려 새로운 우주선을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이렇다 할 경제적 성과 없이 `우주 정복`이라는 명분 아래 매년 수십억 달러를 쏟아붓는 비효율은 개선돼야 한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일단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은 1일 참사 이후 첫 일성으로 인류의 미래를 위한 유인 우주선 프로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CNN 등 주요 언론들이 3일 부시 대통령이 NASA의 예산을 대폭 늘리는 제안을 할 것이라고 보도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그동안 예산 부족 등으로 지지부진했던 우주 개발 계획이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제 2의 중흥기를 맞을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일각에선 부시 대통령이 올해 말 공식적으로 유인 화성 탐사 프로젝트의 우주 사업 비전을 발표하며 케네디 시대에 이어 제 2의 우주 시대를 열 수도 있다는 장밋빛 전망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참사 원인이 컬럼비아호 자체의 결함으로 밝혀질 경우, 최소 300억 달러가 넘게 드는 신형 우주선 개발에 착수해야 하는데 가뜩이나 예산 삭감에 시달리고 있는 NASA 입장에서는 엄두를 낼 수 없는 상황. 이에 따라 우주선 사업을 전면 축소 내지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거세다. 사실 부시 대통령은 지난해 NASA 국장을 바꾸면서 유인 우주선 예산 삭감을 주도했던 장본인이다.
현재 우주 사업의 최대 난제는 2006년 완공을 목표로 600억 달러 규모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국제우주정거장 건설 사업. 공정이 현재 3분의 1에 그치고 있어 앞으로 막대한 예산 할당이 불가피한데다 건설 부품 조달을 위해 완공때까지 유인 우주 왕복선을 계속해서 보내야 하는 상황이다. 이 같은 재정적 문제 때문에 NASA는 예정대로라면 퇴역했어야 할 컬럼비아호를 무리하게 연장 운행하다 이번 참사를 맞게 됐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지난 69년 달 착륙이래 이렇다 할 주목을 받지 못했던 미 항공우주사업이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정부의 대폭적인 투자를 통한 새로운 도전의 시기로 가느냐 아니면 사실상 후퇴를 선언하느냐 하는 분기점에 서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병관기자 comeon@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