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차부품업계 "완성차횡포" 여전

국내 자동차부품업체 10개사중 4개업체는 아직도 납품단가 인하요구 등과 같은 완성차업계의 횡포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일 중소기업청과 자동차조합이 최근 3개월동안 공동으로 200개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자동차부품업체 경영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업체중 40.6%가 완성차업체들의 잘못된 거래관행으로 애로를 겪고 있었다. 이중 납품단가인하가 42.5%로 가장 많았고 불규칙한 발주 21.2%, 대금결제 장기화 13.0% 순이었다. 결제방법도 전체의 82.5%가 「어음결제」라고 답했고 이중 56.2%는 60일이상 90일이내인 것으로 조사돼 장기어음결제 관행이 아직까지 고쳐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금결제비중은 17.5%에 불과했다. 이같은 경향은 완성차-부품업체간의 거래관계가 아직도 대부분 하도급 거래에 치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도급관계를 이루고 있는 것이 전체의 반이 넘는 59.1%에 달하고 완전독립경영을 하고 있다는 업체가 36.4%에 불과한 것은 이를 반증한다. 부품업체의 완성차업체 의존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생산자금으로 지원받는 것은 불과 2.6%에 그치고 나머지는 자체조달이나 금융기관 차입등으로 해결하고 있었다. 이밖에 응답업체들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부품산업 육성(31.5%), 부품공용화(27.0%), 거래관행 개선(26.1%)등과 같은 노력이 있어야 하며 특히 일본 의존도가 높은 엔진과 전자부품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자동차 부품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모기업 협력체제 개선(28.8%)가 가장 중요한 과제로 조사됐다. 송영규기자SKONG@SED.CO.KR 입력시간 2000/04/02 19:47

관련기사



송영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