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장기요양보호노인 10명 중 3명은 수발자없다"

장기요양보호가 필요한 노인 10명 가운데 3명 정도는 가족이나 다른 사람의 수발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이들 노인은 건강 악화시 주로 아들, 특히 장남의 보살핌을 받기를 원하는것으로 조사됐다. 17일 보건사회연구원 정경희 부연구위원팀이 발표한 「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의수발실태 및 복지욕구」논문에 따르면 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 2천286명을 대상으로조사한 결과 50.9%가 가족수발을 받고, 23.1%는 가족 아닌 사람으로부터 수발을 받고 있었다. 수발을 받고 있는 경우 수발자는 ▲며느리의 비율이 35.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배우자(31.5%) ▲딸(13.5%) ▲아들(6.7%) 등이었다. 또 부모의 건강악화시 ▲장남(며느리 포함)이 돌보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노인이 43.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장남이 아니더라도 아들이 좋다'(17.7%) ▲`자식들이 돌아가면서 돌본다'(14.7%) ▲`부모와 마음이 맞는 자녀가 돌본다'(10%)▲`경제적으로 가장 여유 있는 자녀가 돌본다'(8.5%)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이 악화됐을 때 원하는 가구형태로는 60.9%가 `자녀와 (계속) 함께 살겠다'고 응답했고, 20.1%는 '(복지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혼자 살겠다', 17.1%는 `무료라면 시설에 들어가겠다', 1%는 `유료라도 시설을 이용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장기요양보호노인 수발자 1천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부모의 의식주관련 생활비 마련에 대해 `자녀가 보살피는 것이 당연하다'는 응답이 43.8%, `주로자녀가 보살피고 자녀의 힘이 미치지 않을 때는 국가가 보살핀다'는 31.3%, `자녀와국가가 함께 보살핀다'는 13.6%, `전적으로 국가가 보살펴야 한다'도 6.5%로 각각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최재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