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Living&Joy] 스키시즌 돌아왔다


[Living&Joy] 스키시즌 돌아왔다 맹준호 기자 next@sed.co.kr 관련기사 • [Living & Joy] 예전 기사 리스트 전체 보기 • 용평리조트 충돌 걱정 없는 ‘메가슬로프’ • 무주리조트 컨베이어 벨트 3개 신설 • 휘닉스파크 새 슬로프·리프트 설치 • 비발디파크 스키월드 최대 숙박시설 • 현대성우리조트 ‘하프파이프’ 완비 • 스키용품 패션 보다 실력에 맞게 • 소재·스타일다양화 일상복으로도 좋아 • 보드복 풀세트 16만원이면 OK! • 꿈의 해외 스키장 • 스위스 융프라우 • 일본 나가노 • 캐나다 브리티시 콜럼비아 • 우표에 내얼굴 담아 러브레터 보내볼까 • “나는 문화를 디자인 한다” • 안치환 "인기를 멀리하니 자유가 " • 진부한 스토리 그래도 재밌는 귀신 이야기 스키 시즌이 시작됐다. 산을 뒤덮는 본격적인 눈은 아직 안 왔지만 몇몇 스키장들은 지난 주부터 앞 다퉈 개장했고, 마음 급한 스키어들은 제설기로 만든 ‘인공 처녀설’을 밟았다. 유난히 빨리 찾아 온 추위 때문에 올해 스키장 개장은 예년보다 일주일에서 보름 가량 빠르다. 아직 개장하지 않은 스키장들도 다음달 초순 전에는 모두 문을 열 예정이다. 우리나라 옛말에 ‘눈이 오면 아이들과 개들이 제일 좋아한다’는 말이 있지만 이는 그야말로 옛말일 뿐이다. 요즘은 6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스키ㆍ스노보드 애호가들이 눈의 계절 겨울을 가장 반기는 이들이다. 스키의 역사는 원시적인 운송수단으로 시작했다. 1200년 경 노르웨이 역사에 스키가 등장하기 시작했고, 15~16세기에는 러시아 군대와 노르웨이 우편 배달부가 운송수단으로 스키를 이용했다. 그 뒤로 스피드와 기술을 겨루는 경기로 발전했고, 20세기 들어 동계 스포츠의 꽃이자 레저 산업의 한 축으로 성장했다. 한국의 스키 대중화는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른 편이다. 한때는 일부 계층만 즐길 수 있는 스포츠였지만 최근 들어 스키ㆍ스노보드 애호가들의 저변은 놀라운 속도로 두터워졌다. 이제는 ‘주말족’(주말 스키어) ‘올빼미족’(심야스키어) ‘장비 프로’(고급 장비에 집착하는 아마추어) 등의 마니아를 지칭하는 말들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이밖에 해외의 스키장을 찾아 본고장 슬로프 맛을 즐기고 돌아오는 애호가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스키는 여전히 조금은 까다롭고, 생각 보다 비용이 많이 드는 스포츠다. 이동에서부터 숙박, 장비, 패션 등 사전에 챙길 것도 많다. 계획 단계에서 요모조모 따져야 비용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이번 주 리빙앤조이는 올 겨울 스키ㆍ스노보드 여행 계획을 위한 정보를 모아 봤다. 입력시간 : 2005/11/23 14:3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