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학부모 94% "자녀 안전사고 불안"

학부모의 93.6%가 자녀가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을까 항상 불안해하고 있으며 어린이의 70.8%도 자신이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을까 불안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학부모와 어린이 모두 가장 걱정되는 안전사고로 ‘교통사고’를 꼽았다. 국제 어린이 안전단체인 ‘세이프키즈코리아’는 27일 ㈜대교와 지난 4월 한달간 서울과 수도권ㆍ영남ㆍ호남ㆍ충청ㆍ제주 지역의 초등학교 1학년생과 학부모 2,048명을 대상으로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녀가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를 당할까 불안하나’라는 질문에 학부모 응답자의 73.6%가 ‘불안한 편’, 20.0%가 ‘매우 불안한 편’이라고 답했고 초등학생 응답자도 각각 49.3%와 21.5%가 똑같이 답했다. ‘어린이 안전사고 중 가장 불안한 사고유형’을 묻는 질문에는 학부모의 86%와 초등학생의 61%가 ‘교통사고’를 꼽았다. ‘자녀가 사고를 당했거나 당할 뻔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학부모가 1위로 꼽은 안전사고도 교통사고(27.5%)였다. 이어 놀이터 사고(24.2%), 가정 내 사고(23.5%), 자전거ㆍ인라인 사고(21.8%) 순이었다. 실제로 한국의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 사망률은 90년 아동인구 10만명당 25.9명에서 99년 16.4명으로 감소하기는 했지만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유니세프가 91∼95년 조사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아동인구 10만명당 평균 안전사고 사망자 수는 한국이 25.6명인 데 비해 스웨덴은 5.2명, 영국은 6.1명, 일본은 8.4명 등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