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늦깎이 대학생 이범식씨, 중증장애도 학구열 가로막을 순 없죠

두팔과 오른쪽 다리까지 잃고도 왼발로 연필 잡으며 장애극복

대구대 편입해 새로운 도전

20대에 사고로 양팔과 오른발까지 잃은 대구대 산업복지학과 이범식씨가 발로 노트에 글을 쓰고 있다. /=연합뉴스

"신체적 장애가 도전에 걸림돌이 될 수는 없습니다."

1급 중증장애인, 지천명(知天命·50세)의 나이에도 대학에 진학해 학구열을 불태우는 이가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주인공은 지난해 늦깎이 대학생으로 대구대 산업복지학과에 진학한 이범식(51·4학년)씨다. 그는 신체적 장애를 인생의 장애로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22세 젊은이였을 때 불의의 사고로 두 팔과 오른쪽 다리를 잃었다.

보통사람이었으면 절망 속에서 자포자기했을 수도 있지만 두 팔과 두 다리 가운데 유일하게 남은 왼발로 글쓰기와 밥 먹기 등 일상에 필요한 동작을 익혔다.


왼발 발가락 사이에 연필을 끼워 글을 쓰고 식사를 할 때는 연필 대신 숟가락을 끼워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등 삶에 대한 불굴의 의지로 장애를 극복하기 시작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후 대구교도소 교정위원, 한국교통장애인협회 경북 경산시지회장 등을 맡으며 다양한 사회활동을 했다.

40대 후반 배움에 대한 갈증을 풀기 위해 지역의 한 전문대에 입학, 늦깎이 대학생 생활을 시작한 그는 지난해 또 다른 도전을 시작했다.

장애인 복지증진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대구대 산업복지학과에 편입한 것이다.

이씨는 서른 살 차이가 나는 비장애인 동급생들과 함께 공부를 하면서도 모범적인 생활은 물론 학구열을 불태웠다.

그 결과 이씨는 성적 장학생은 물론 한국장학재단 사람드림장학생 등 다양한 교내외 장학생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씨는 "계단 오르기 같은 인생에서 도전과 성취를 통해 한 걸음씩 성장잠재력을 키우면서 행복을 느꼈다"며 "졸업 후 대학원 진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인 복지 분야 발전에 보탬이 되겠다"고 말했다.

대구대는 자기계발 등으로 다른 학생의 모범이 돼 학교의 명예를 높인 학생들에게 주는 'DU 행복인재상'을 최근 이씨를 포함한 16명의 재학생에게 시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