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식原株 해외상장 내년 상반기 허용

정부는 상장ㆍ등록기업이 발행한 주식 원주의 해외증시 상장을 내년 상반기에 허용할 방침이다.지금까지 주식 원주를 근거로 하는 주식예탁증서(DR) 발행을 통한 해외증시 상장만 허용됐을 뿐 국내주식의 해외부분상장은 금지돼 왔다. 이에 따라 국내기업의 해외자금 조달이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감독원 고위관계자는 28일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ㆍ등록된 기업이 해외증시에서 DR(주식예탁증서)가 아닌 주식을 발행,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중"이라며 "재정경제부, 금융감독위원회 등 유관부처 협의와 법개정 작업을 거쳐 내년 상반기경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행 증권거래소 유가증권상장규정과 증권업협회 유가증권등록규정은 주권의 일부 상장을 불허, 상장기업과 코스닥기업이 해외증시 등 다른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부분 상장할 수 없도록 돼 있다. 다만 원주가 아닌 DR에 대해선 다른 증권거래소 상장을 허용하고 있으나 DR의 원주전환 또는 원주의 DR전환에 일정한 제한을 둬 왔다. 이 관계자는 "거래 용이성 등 투자자들의 불편함으로 인해 해외 DR발행이 쉬운 일은 아니다"며 "만일 원주의 부분상장이 가능해지면 국내기업의 해외증시자금조달이 보다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한 해외에서 원주를 발행, 해외증시에 상장할 수 있게 되면 궁극적으로는 국내 증시에서의 공급을 줄임으로써 수급에도 도움이 된다는 측면도 부분상장 허용의 검토배경이 되고 있다. 한편 세계 주요 증권거래소들의 경우에는 도쿄증권거래소ㆍ뉴욕증권거래소ㆍ런던증권거래소 등이 부분상장을 금지하고 있는데 비해 나스닥시장은 부분상장을 허용하고 있다. 정승량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