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차량의 결함이 발견됐을 경우 업체들이 소비자를 대상으로 비공개의 대응에 나섰던 예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제조물의 하자를 인정하고 무상으로 부품을 교환해주는 리콜의 수준이 한단계 올라섰다는 평가다.올들어 국내에서 실시된 자발적 리콜은 총 7건에 달한다. 지난해 5건, 97년 2건 등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분명 증가 추세다.
업계 전문가는 『선진국과는 달리 리콜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반응이 워낙 부정적이어서 업체들은 그동안 공개 리콜을 꺼려 왔다』며 『자동차 자기인증제도와 제조물책임법 도입에 대비하는 과정에서 업체의 공개 리콜도 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리콜에 대한 업계·소비자·정부의 인식은 아직 초보 단계. 선진국처럼 리콜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제도 보완과 의식 개혁 작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늘고 있는 국내 자동차의 자발적 공개 리콜=현대와 기아차는 올들어 국내에서 카니발·EF쏘나타 등 9종의 차량을 대상으로 각각 3번과 4번의 리콜을 실시했다. 7건 모두 주무 부서인 건설교통부나 환경부에 통보한 자발적 공개 리콜이다. 반면 지난 96년부터 97년 5월까지 실시된 15번의 국내 리콜 중 단 1건만이 공개 리콜이었고 14번은 비공개 리콜이었다. 이 기간동안 국내 업체가 해외에서 10건을 공개 리콜한 것과 대조적이다. 이같은 비교 수치가 자발적 리콜의 증가세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몇년전과는 달리 리콜에 대해 이해심을 가진 소비자들이 늘고 있어 자발적 공개 리콜도 증가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자발적 리콜의 증가는 2003년부터 실시될 예정인 자동차 안전여부에 대한 자기인증제도와 의견 수렴에 들어간 제조물책임법(PL·PRODUCT LIABILITY) 등에 적응하기 위한 업체의 준비 과정이기도 하다. 이들 제도가 제정되면 자동차 판매 이후 발생하는 사후 책임을 제조업체가 전적으로 부담해야 한다. 따라서 업체들이 이들 제도의 도입에 대비해 나가는 과정이라는 분석이다.
◇리콜, 해외에서는 일반적인 현상=미국·캐나다·호주 등 선진국에서 리콜이 일찍 정작된 것은 자기인증제도와 제조물책임법, 집단소송제도와 같은 소비자의 주권이 강화되면서 부터. 사후에 모든 책임을 지는 것 보다 사전에 개선할 문제점을 해결하는 게 훨씬 경제적이고 기업 이미지를 덜 손상시킨다는 인식이 별 무리없이 정착됐다. 여기에 리콜을 일반적인 서비스활동으로 여긴 소비자들의 시각도 한 몫했다. 지난 96년 한해동안 미국은 303건, 캐나다 208건, 영국 116건, 호주 87건, 일본 58건의 자동차 리콜이 실시됐다.
◇리콜 정착의 과제는=업계·소비자·정부는 리콜 정착이 고객 만족과 기업의 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이라는 점에 동감하면서도 아전인수격의 주장을 펴고 있다. 업계는 우선 소비자들의 의식 변화를 주문했다. 기아차 관계자는 『2만여개의 부품을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소비자들의 유연한 생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업체에 대한 불만도 만만찮다. 건교부 관계자는 『업체들이 고객 불만을 적극적으로 처리하려는 의지가 아직 부족하다』며 『판매 악영향 운운하는 업체의 태도는 앞뒤가 바뀐 처사』라고 지적했다. 소보원 관계자는 『정부의 감독 소홀도 리콜 제도 정착에 걸림돌』이라며 정부를 겨냥했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공개 리콜의 의무화 리콜담당 기관의 결함조사 강화 결함정보 제공 의무화 등 선진국 수준의 제도 보완해야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리콜이란=상품의 결함으로 소비자가 위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을 경우 상품의 제조사나 유통업자가 스스로 또는 정부의 명령에 의해 공개적으로 결함상품 전체를 수거해 위해방지 조치를 취하는 것. 자동차 리콜은 건교부(안전)와 환경부(배출가스)이 담당하고 있다.
김기성기자BSTAR@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