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둔촌 주공서 찾은 재건축 해법


대부분 단지가 재건축 사업 막바지에 이른 서울 고덕지구. 첫 기자생활을 시작한 직후인 지난해 3월 가장 먼저 찾았던 곳이 바로 5호선 끝머리에 위치한 이곳이었다. 1년여의 시간이 지났지만 이곳 8개 단지 재건축 사업은 대부분 지지부진하다. 주민과 조합 간 소송으로 시끄러운 사업장이 한둘이 아니고 일부 단지는 조합장이 해임됐다는 소식마저 들려온다. 엉킬 대로 엉켜 풀기 힘든 실타래마냥 이곳의 재건축 사업은 상당수가 사업 시행 인가까지 받았지만 여전히 갈 길이 험난해 보인다.

강동역에서 갈라지는 5호선의 또 다른 갈림길에 위치한 둔촌주공. 이곳 역시 오랜 진통을 거듭했지만 지난 16일 '부분 종(種) 상향'에 성공했다. 지난해 서울시가 재건축 사업에 소형 비율 30%라는 기준을 요구하면서 위기를 겪기도 했지만 결국 종 상향에 성공하며 사업의 9부 능선을 넘어섰다. 앞으로 남은 단계에서도 순항할 것이라는 게 업계 안팎의 평가다.


무엇이 달랐기에 이렇게 상반된 결과를 보인 것일까. 소송전이 난무할 만큼 조합원과 조합 간 이견이 큰 고덕주공과 달리 둔촌주공의 목소리는 '하나'다. 5,930가구의 대단지임에도 행방불명자 등의 8가구를 제외한 모두가 동의서를 냈을 만큼 조합에 대한 주민들의 지지율이 높다. 309개에 달하는 상가도 동의율이 100%에 달한다. 이 신뢰를 바탕으로 서울시와 조합원 모두 '윈-윈'의 결과를 만들어낸 것이다.

관련기사



재건축은 순수 민간사업이다. 주민은 가장 돈을 적게 들이고 싶은 게 당연하다. 서울시 역시 재건축이 주택 정책의 중요한 축인 만큼 공공 기여를 원할 수밖에 없다. 조합은 각기 다른 각 주체의 '욕망'을 현명하게 조율해 사업을 성공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

문제는 대부분의 재건축 조합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시공사와 부당한 관계로 사업을 망치는 조합도 심심찮게 드러난다. 그렇게 사업이 늦어지면서 눈덩이처럼 불어난 비용은 고스란히 조합원들에게 돌아간다.

이번 둔촌주공의 사례가 표류하는 재건축ㆍ재개발 사업의 새로운 대안을 찾는 단초가 되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