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작년 한국영화 흥행작들 부가가치 평균 303억

박스오피스 상위 10위권 집계… '왕의 남자' 는 749억 달할듯


지난 2005년 박스오피스 10위권의 한국 영화들이 평균 303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추산됐다. 2일 신용평가기관인 한국기업평가가 영화진흥위원회의 관람객 수를 토대로 집계한 ‘2005년 박스오피스 상위 한국영화의 부가가치’ 현황에 따르면 10대 한국영화의 평균 예상부가가치는 극장상영 수입 233억원, 부가판권 수입 70억원 등 총 30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말 개봉해 2005년 박스 오피스 순위에서는 빠졌지만 올해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몰이의 선두주자였던 ‘왕의 남자’ 의 부가가치 창출액은 7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예상 부가가치는 관람객 수입에서 10%의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극장상영 수입에 총매출의 20~23%를 차지하는 비디오, 해외, 지상파 등의 부가판권 수입을 더해 산출됐다. 영화별로는 지난해 800만 관객을 동원한 ‘웰컴투 동막골 ’ 이 극장상영 수입 453억원, 부가판권 수입 135억원 등 총 588 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했으며, 이어 ‘가문의 영광2’ 414억원, ‘말아톤’ 378억원, ‘친절한 금자씨’ 268억원, ‘공공의 적2’ 287억원, ‘태풍’ 273억원, ‘너는 내 운명’ 224억원, ‘마파도’ 227억원,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186억원, ‘박수칠 때 떠나라’ 181억원 등의 부가가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말 개봉, 올 4월 1,230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막을 내린 ‘왕의 남자’는 극장상영 수입만 584억원에 부가판권 수입 165억원 등 총 749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추산됐다. 또 부가가치 창출액에서 극장상영매출의 50%를 차지하는 극장주 이익배분과 마케팅 비용, 수수료 비용 등을 제외한 순이익도 390여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한국기업평가측은 오는 7월부터 시행될 스크린쿼터 축소는 단기적으로 영화산업의 큰 지형변화를 초래하지 않겠지만 SK텔레콤, KT 등 대규모 자본 참여로 인해 기존 영화의 제작과 배급 상황이 급변할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