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단일브랜드 전략' 까르푸 울고 '지역특성 살리기' 아홀드 웃다

세계 소매 유통업계 순위 2ㆍ3위를 달리고 있는 프랑스의 까르푸(Carrefour)와 네덜란드 아홀드(Ahold)가 브랜드 전략 차이로 최근 매출ㆍ순익에서 명암이 극명히 엇갈리고 있다.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은 3일 기업 인수 후 브랜드명을 모두 바꾸는 '단일 브랜드' 전략을 선택한 까르푸가 시너지 극대화에 실패한 반면 기존 브랜드를 유지한 아홀드는 큰 폭의 매출 및 순익 증가를 기록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홀드의 올 상반기 순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나 늘어난 6억4,100만유로(약5억7,700만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까르푸의 순익은 같은 기간 5.9% 증가, 아홀드의 절반인 3억2,000만 유로에 그쳤다. 저널은 친밀도 높은 기존 브랜드를 유지했는지 여부가 이들의 희비를 가른 것으로 분석했다. ◇까르푸, 단일브랜드 전략으로 낭패 까르푸는 지난 99년 150억유로에 라이벌 프로메데스를 인수하면서 유럽 각지의 매장을 자사 이름으로 바꿨다. 이와 함께 상품 진열 등도 자신들의 방식으로 전환했으며 프로메데스 브랜드로 납품되던 각종 생필품도 그 이름을 까르푸로 교체했다. 그러나 까르푸의 매출과 순익 증가속도는 그 이후 예상과 달리 오히려 둔화됐으며, 주가는 30% 가까이 떨어졌다. 프로메데스란 브랜드 명에 익숙해 있던 고객들의 발길이 뜸해진 게 주요 요인이라고 저널은 전했다. 까르푸의 대변인인 크리스티안 하노레도는 이와 관련 "기존 브랜드를 교체한 것이 소비자의 선호도를 감소시켜 온게 사실"이라면서도"그러나 최악의 상황은 지난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아홀드, 지역브랜드 특성 살려 성공 아홀드는 슈퍼디플로(스페인), ICA(스웨덴), S&S 앤드 자이언트(미국) 등 전 세계적으로 25개의 매장 이름을 갖고 있다. 유통업체는 정치와 마찬가지로 지역주민의 정서에 친근한 기존 매장명을 그대로 사용해야 한다는 이 회사의 전략에 따른 것. 이 같은 전략의 성과로 아홀드는 매출과 순익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가도 지난 99년 11월 이후 14% 상승했다. 아홀드의 대변인인 잰 홀은 "단일브랜드 보다는 25개의 브랜드명을 유지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부담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그러나 비용증가보다 훨씬 빠르게 매출이 증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장순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