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日 원전사태 끝이 안보인다] 정부, 사고 등급 격상에 긴장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전 사고에 대한 평가가 최악의 단계인 레벨 7로 격상되자 우리 정부도 긴장하고 있다. 하지만 그 동안 비상대응을 해 왔기 때문에 추가적인 대책보다는 사태추이를 주시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환경방사능 측정ㆍ감시 업무를 맡고 있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별도의 추가 대응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면서도 국내로 유입되는 방사성 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윤철호 KINS 원장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급이 격상된 것은 방사성 물질이 추가로 대량 방출됐기 때문이 아니라 지금까지 배출된 총량을 따져보니 7등급 기준을 상회한 것으로 평가됐기 때문”이라면서 “국내로 유입되는 방사성 물질의 농도나 방사선량에는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추가 대응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교과부와 KINS는 대기와 해수에 대한 환경방사능 측정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한편 계속되는 여진으로 인해 일본 원전 사고에 진전이 있을지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상청은 이미 최고등급의 감시체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일단 특별히 인원을 증원하거나 시스템 보강하지는 않을 방침이다. 하루에 4번씩 기류 분석도를 제공하고 현행 감시체계를 그대로 유지할 예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아직 일본산 농산물과 가공식품에 대해 추가적인 제재계획은 없다. 식약청의 한 관계자는 “일본 원전사태 위험성이 상향 조정된 것과 농산물 등의 식품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면밀하게 검토 중”이라면서 “검토가 끝나면 여러 상황을 감안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농산물 수입금지 지역 확대 등은 국가간의 교역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최대한 신중히 논의할 방침이다. 전문가들도 일본 원전 사고가 초기에 7등급에 해당될 정도로 방사성 물질을 대량으로 방출했기 때문에 이번 등급 격상으로 인해 물리적인 상황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황일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진작에 레벨 7로 상향 조정됐어야 하는데 사실 등급 격상이 늦게 된 것”이라면서 “상황이 바뀐 것이 아니기 때문에 등급이 격상됐다고 해서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없으며 대응도 달라질 게 없다”고 말했다. @Sed.co.kr 송대웅기자 sdw@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