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중산층 70% 회복'을 국정과제로 삼고 경제활성화에 전력하고 있지만 가계 살림은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경기회복이 늦어지면서 소득이 쥐꼬리만큼 오르다 보니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설문 결과에서도 이와 같은 팍팍한 가계살림 현실이 그대로 드러났다.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1년 전과 비교해 가계 살림살이가 어떠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3.4%는 변화가 없다고 답했다. 오히려 가계살림이 나빠졌다는 응답은 27.2%인 반면 좋아졌다고 답한 비율은 8.5%에 불과했다.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9명은 가계 살림이 나아지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소득별로 보면 저소득일수록 가계 살림을 더욱 팍팍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월 가구소득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은 92.8%가 1년 전과 비교해 가계 살림이 나아지지 않았다고 답했다.
201만~300만원은 95.9%, 301만~500만원은 90.6%가 가계 살림이 나빠지거나 변화가 없다고 응답했다. 반면 501만원 이상 고소득 가구의 경우 가계 살림이 좋아졌다는 응답비율이 14.7%로 평균치(8.5%)를 크게 웃돌았다. 소득 수준에 따른 부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얘기다.
이 같은 현상은 계층 인식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도 확인됐다. 스스로를 상위·중상위 계층으로 생각한 응답자의 19.6%는 1년 전과 비교해 가계 살림살이가 나아졌다고 답한 반면 중간과 중하위·하위 계층은 각각 9.3%, 3.4%에 그쳤다.
박근혜 정부가 큰 공을 기울이고 있는 중간층의 경우 23.7%가 1년 전보다 가계 살림이 나빠졌다고 답해 정부의 정책이 대상자들에게까지 퍼지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 당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보수·중도 성향의 응답자들 역시 가계 살림이 팍팍하다고 답했다.
경기회복 지연으로 가계 살림이 개선되지 못하면 핵심지지층의 이탈이 우려되는 부분이다. 보수성향의 응답자들은 92.4%, 중도성향은 90.4%가 가계 살림이 1년 전과 비교해 나아지지 않았다고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