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화채권 신용위험도 통화스와프 이전으로

2014년 만기 외평채 가산금리 0.12%P 올라 5.5%<br>글로벌 디플레 우려·신용경색 지속등 영향<br>CDS 프리미엄도 재상승…5년물 4.08%

한국물 외화채권에 대한 신용 위험도가 조금씩 높아지면서 다시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일 국제금융센터와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오는 2014년 만기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의 가산금리는 19일을 기준으로 전날보다 0.12%포인트 오르며 5.5%를 기록했다. 2014년물 외평채 가산금리는 지난 10월27일 7.91%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에 힘입어 급락하기 시작해 이달 4일에는 4.74%까지 주저앉은 바 있다. 이처럼 가산금리가 오르는 이유는 글로벌 디플레이션 우려, 신용경색 지속, 기업실적 악화 등 국내외 경제상황이 나아지지 않으면서 안전자산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을 비롯한 신흥 국가의 외화채권 신용위험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물론 최근 가산금리의 오름세는 외화 유동성 경색이 극심했던 10월에 비해서는 양호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가산금리 5.5%는 미국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 파산(9월15일) 당시 2.18%의 두배에 이른다. 2013년 만기 외평채 가산금리도 전날보다 0.12%포인트 오르며 5.38%를 기록했다. 더구나 부도 위험성을 반영하는 외화채권에 대한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 이전으로 돌아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 발행 5년 만기 외화채권에 대한 CDS 프리미엄은 19일 기준, 전날보다 0.07%포인트 오른 4.08%를 기록했다. 지난달 27일 6.99%로 정점에 오른 뒤 하락세로 돌아서 이달 5일 2.76%까지 내렸다가 다시 오르고 있는 것이다. 외화채권의 CDS 프리미엄은 여전히 태국(2.96%)이나 말레이시아(3.06%), 칠레(2.32%)보다 높다. 은행들이 발행하는 5년 만기 외화채권에 대한 CDS 프리미엄도 다시 상승하면서 5%대로 올라섰다. 국민ㆍ기업ㆍ산업ㆍ수출입ㆍ신한ㆍ우리ㆍ하나은행의 외화채권 CDS 프리미엄은 18일 기준으로 4.75∼5.35%를 기록했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최근 CDS 프리미엄의 오름세는 한국뿐 아니라 중국ㆍ태국ㆍ말레이시아 등 다른 나라에도 공통된 현상”이라며 “국내 금융시장이 유달리 나빠진 게 아니라 전세계 금융시장의 불안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