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경남기업 결국 법정관리 신청… '정치금융'에 기업·당국·은행까지 '수렁'

구조조정 더뎌지며 피해 키워

커넥션 의혹 검찰수사 파장 속 협력사 연쇄도산 등 타격 클듯


'경남 아너스빌'이라는 아파트 브랜드로 알려진 경남기업이 채권단으로부터 회생자금을 더 이상 지원받지 못해 27일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경남기업은 그간 세 차례의 워크아웃(기업개선절차)을 진행했으나 법정관리는 1951년 창사 이래 처음이다.

특히 경남기업의 법정관리는 국내 기업 구조조정 부문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국회의원 최고경영자(CEO)와 금융감독원·은행까지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고 최근 이에 대한 사정기관들의 수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경남기업에 투입된 금융권 자금이 2조2,000억원에 달한다. 부실기업이 시장논리에 따라 빠르게 정리되지 못하면서 피해는 더욱 커지고 구조조정 과정에 참여했던 각계 관계자들까지 다칠 위험에 처했다. '정치금융'이 기업과 금융당국·은행까지 망친 대표적 사례가 될 것이라는 게 금융권 안팎의 지적이다.

경남기업의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은 이날 "전날 자정까지 채권기관의 추가 지원 동의 여부를 취합한 결과 (워크아웃) 가결요건(채권단 75% 이상 동의)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앞서 경남기업은 채권단에 전환사채 903억원의 출자전환과 1,100억원의 긴급운영자금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하지만 채권단 가운데 25% 이상이 추가 자금 지원안을 거부하면서 경남기업은 결국 상장폐지와 법정관리 수순에 돌입했다.

관련기사



경남기업에 대한 추가 지원 무산은 이미 예견됐던 부분이다.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은 올해 들어 적극적인 추가 지원 의지를 보이지 않고 갈팡질팡했고 다른 채권기관들은 검찰수사 추이 등을 보겠다며 부정적인 여론을 형성했다. 앞서 검찰은 경남기업의 자원개발 비리 의혹에 대한 수사에 나섰고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에 대한 압수수색도 진행했다. 금융당국에는 이미 수일 전 추가 지원이 힘들다는 채권단의 방침이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은 이미 경남기업 여신에 대해 대부분을 충담금으로 적립한 상태이기 때문에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신한은행도 경남기업 대출에 대해 90%가량 충당금을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경남기업이 산업 파급력이 높은 건설기업인 만큼 업계 전반의 피해는 불가피하다.

대한주택보증에 따르면 현재 경남기업의 건설현장은 거제 사곡 지역주택조합(1,030가구), 서울 봉천 제12-1구역 재개발(519가구) 등 5개 총 3,597가구에 이른다. 협력업체도 총 1,800여개로 일부 영세업체들은 경남기업 법정관리에 따른 연쇄도산도 우려된다. 다만 건설현장의 경우 보증이 이뤄지기 때문에 완공까지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경남기업 사태는 정치권과 금감원·은행이 모두 얽힌 커넥션 의혹으로 확대되고 있다.

검찰과 감사원 등 사정기관들은 경남기업의 세 번째 워크아웃 과정에서 정치권의 민원을 받아 금감원이 외압을 넣고 은행이 무리한 지원을 한 것은 아닌지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경남기업의 대주주인 성완종 회장은 당시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국회의원이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금융당국은 건설업체라는 특수성을 고려, 자금 지원을 독려한 것뿐이고 은행은 자체 판단에 따라 지원했다"며 "무분별한 외압설이 번지고 있어 안타깝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