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중산층 31% " 금융위기로 수입 줄어"

소득 낮을수록 피해 더 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서울의 중산층 10가구 가운데 3가구는 수입이 감소해 빚을 진 경험이 있으며 절반 이상은 생활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금융위기 이후 서울 중산층 가구의 생활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해 6월 월평균 가구총소득이 150~450만원인 1,000가구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1,000가구 가운데 31.1%가 금융위기로 가구수입이 감소했으며 39.5%는 수입이 지출보다 적어 적자재정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소득수준별 수입감소 가구의 비율은 '150만∼200만원' 39.5%, '200만∼300만원' 33.6%, '400만∼450만원' 27.7%, '300만∼400만원' 26.5% 등으로 조사됐다. 소득이 낮을수록 금융위기에 따른 피해가 더 컸던 셈이다. 또 조사 대상 가구의 54.1%가 '금융위기 전보다 생활비를 줄였으며 외식비, 식료품비, 사교육비 순으로 지출을 줄여나갔다'고 응답했다. 금융위기 이후 주거 조건이 악화된 가구의 비율은 6.4%였으며 이 가운데 32.8%는 살던 집의 규모를 줄였고 31.3%는 자가에서 전세 또는 월세로 옮겼다. 월세·관리비를 체불하거나 세금·공과금 등을 체납한 경험이 있다는 가구도 29.9%에 달했다. 금융위기에 따른 가계사정 악화는 가족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쳐 상당수의 가구가 '가족 간 대화가 줄었다(12.6%)' '다툼이 늘었다(10.1%)' '이혼을 심각하게 고려한 적이 있다(5.5%)' '자살 충동을 느낀 적 있다(4.4)'고 답했다. 김경혜 선임연구위원은 "서울 중산층의 비중은 (민선 3·4기인)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해왔다"며 "저소득층 위주인 현행 복지정책을 중산층까지 포함하는 보편적 복지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