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일본發 생산차질 최소화 대책 시급

일본의 대지진과 원전폭발 등으로 일본의 산업활동이 거의 마비상태를 보이면서 국내 기업들의 직접적인 피해도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ㆍ철강소재 등을 비롯해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소재 및 부품조달 등에 차질이 빚어지는 가운데 거래중단 사태까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력 및 용수 부족은 물론 물류 인프라 파괴 등으로 가동이 중단되거나 생산차질을 빚는 일본 기업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태는 어느 정도 예견된 것이지만 방사능 공포가 현실로 닥치면서 충격과 피해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종별 상황을 보면 일본 자동차 업계의 경우 지진이 발생한 지난 11일부터 일시적으로 생산중단에 들어갔고 철강ㆍ석유화학 분야 등 상당수 업체들도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IT 부문도 소니사의 6개 공장 가동이 중단된 가운데 반도체 생산에 차질을 빚는 등 일본의 거의 모든 산업이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다. 문제는 일본의 산업활동이 단기간에 정상화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더구나 잇단 원전폭발에 따른 방사능 공포가 현실로 닥치고 있어 일본경제 마비라는 최악의 사태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다. 주요 산업은 물론 경제활동 전반에 걸쳐 상호 의존도가 높은 한일관계의 특성상 국내 산업과 경제적 피해도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15일까지 120여곳의 기업들이 1,000만달러 정도의 손실을 입었다. 우리 부품소재 수입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이 25%에 달할 뿐 아니라 반도체나 LCD 등 주력산업의 핵심 원자재가 많다는 점에서 사태가 장기화할수록 대기업들의 경영계획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큰 실정이다. 특히 상당수 부품 및 원자재의 경우 일본이 독점 공급하고 있어 수입선을 바꾸기 어려운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본 대지진 사태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피해상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피해가 최소화하도록 다각적인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 예기치 못한 사태에 따른 생산차질 등으로 일시적으로 자금악화 가능성이 예상되는 중소기업들에 대해서는 자금난을 덜어주는 방안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