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름 0.2㎜ 혈관도 촬영" MRI 조영제 개발

현택환 서울대 교수팀 … 혈관질환 진단에 큰 도움


국내 연구진이 지름 0.2mm의 작은 혈관까지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조영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상용화하면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 혈관 질환의 정확하고 빠른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사진) 교수와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최승홍 교수 연구팀은 산화철 나노 입자를 합성한 후 이를 MRI 조영제로 사용해 고해상도 혈관 MRI 영상을 얻는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조영제는 MRI 영상에서 각 조직과 혈관을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도록 하는데 쓰이는 물질로, 원하는 부위가 밝게 보이는 T1 조영제와 어둡게 보이는 T2 조영제로 나뉜다. T1 조영제로 널리 사용되는 가돌리늄 착물은 혈관과 생체 내 체류시간이 짧아 혈관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T2 조영제로 주로 쓰이는 산화철 입자는 독성이 적지만 자성(磁性)이 커서 T1 조영제로 사용하기 힘들었다. T1조영제의 자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산화철 입자를 극소 나노 크기로 만들어야 한다. 현 교수팀은 3나노미터(nm) 이하의 매우 작은 산화철 나노입자를 대량으로 합성하는데 성공, 이 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이 조영제로 대동맥ㆍ대정맥ㆍ경동맥 등 큰 혈관뿐 아니라 0.2mm 지름의 작은 혈관까지도 관찰할 수 있었다. 현 교수는“기존 MRI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해상도 혈관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 데 연구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분야의 권위있는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ACS)’2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