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블랙아웃 위기' 이전에도 수차례 있었다

대한민국 전체가 암흑천지로 변할 수 있는 대규모 정전(블랙아웃) 위기가 ‘9ㆍ15 정전사태’ 이전에도 몇 차례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하지만 전력거래소가 이를 지식경제부에 제대로 보고하지 않아 위기대응에 무사안일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염명천 전력거래소 이사장은 19일 지식경제부 국정감사에서 “대규모 정전이 발생한 9월 15일 이전에도 전력예비력이 100만Kw 이하로 떨어진 적이 있었다”고 시인했다. ★ 관련기사 6면 염 이사장은 이날 “이번 사태 이전에도 유사한 일이 있었으나 실무진이 통상적으로 알아서 처리해 지경부에 보고는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는 전력수급 매뉴얼상 ‘심각’단계에 달하는 위급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내부적으로 전압 조정과 수요 관리, 직접 부하제어 등으로 위기상황을 벗어나 외부에는 제대로 알리지 않는 ‘관행’이 있었던 셈이다. 또 전력거래소가 지난 15일 오전 예비전력이 300만kW 이하로 낮아진 상황에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 오후 1시35분께 예비전력이 100만kW 이하로 떨어진 지 1시간여가 지난 오후 2시20분께 돼서야 순환정전 조치를 취하는 등 매뉴얼을 어기고 안이하게 대응한 것으로 파악됐다. 염 이사장은 “오전 11시40분부터 일시적으로 예비전력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를 위기로 인식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