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퇴직자 〉채용자 넉달째 지속

직장인의 퇴직 연령이 점차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55세 이상 중ㆍ고령층이 희망하는 퇴직연령은 평균 68세 가량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중ㆍ고령층의 54%는 무직이며, 이에 따라 2명중 1명 가량이 재취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장창원 연구위원 등이 펴낸 `고령화사회의 인적자원정책(Ⅱ)`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7대 광역시의 만 55∼69세 남녀 855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이들의 희망 퇴직연령은 평균 67.8세로 집계됐다. 희망 퇴직연령 대는 70∼74세가 56.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65∼69세 23.7%,65세 미만 10.3%, 75세 이상 7.0% 등의 순이다. 그러나 현재 직업을 갖고 있지 않은 중ㆍ고령층은 전체의 53.7%로, 연령대 별로는 65∼69세 67.3%, 60∼64세 43.4%, 55∼59세 39.0%, 학력 별로는 초등학교 이하 60.7%, 중졸 54.4%, 고졸 46.9%, 전문대졸 이상 50.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55∼59세의 60.6%, 60∼64세의 52.6%, 65∼69세의 40.4% 등 전체의 49%는 현재 또는 퇴직 후 `재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지만 재취업을 전혀 원치 않은 경우도 37.2%나 됐다. 재취업을 희망하는 이유는 `할 일이 있다는 것 자체가 좋기 때문`이 43.9%, `돈을 벌기 위해` 37.0%, `건강에 좋을 것 같아`16.9% 등의 순이다. 재취업때 희망하는 임금수준으로는 자신의 전성기 때 임금을 100으로 할 때 51∼70%가 44.6%, 71% 이상이 13.4%였지만 `절반 이하를 받아도 된다`는 응답자도 42.0%나 됐다. 하지만 현재 금융소득을 포함한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에도 못 미치는 가구가 39.7%나 되는 데다 24.4%는 공적연금이나 은행예금ㆍ적금, 부동산 등의 `노후대책 계획이 없거나 형편이 안 된다`고 밝혀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전용호기자 chamgil@sed.co.kr>

관련기사



전용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