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4대江 수질개선 깨진독 물붓기

'맑은물' 대책 15兆 투입불구 되레 악화정부가 지난 93년 맑은물공급종합대책을 수립한 후 작년까지 15조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의 수질은 개선되기는 커녕 이전보다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강의 안양·중량천, 낙동강의 금호강, 영산강의 광주천 등 4대강 지천의 수질은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사실은 국무총리실 산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이 지난 10년간 전국 주요하천의 오염도를 점수로 환산한 분석에서 23일 밝혀졌다. KEI는 환경부가 정례적으로 측정하는 부유물질(SS), 수소이온(PH), 총인(TN),총질소(TP), 용존산소(DO),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등 10개 오염항목을 종합해 수질상태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점수화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4조여원이 투입된 한강의 경우 100점 만점으로 지난 90년 84. 19, 91년 85.36, 92년 86.11로 비교적 양호했다. 그러나 맑은물공급종합대책이 수립된 93년 84.18을 시작으로 94년 82.30, 95년 81.75, 96년 78.40, 97년 78.32, 98년 79.11, 99년 78.80으로 계속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3조여원이 투입된 낙동강은 지난 90년 84.22, 91년 84.33, 92년 83.17로 3년동안 역시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93년 79.59를 시작으로 94년 76.49, 95년74.27, 96년 76.75, 97년 76.04, 98년 78.85, 99년 79,03으로 악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금강(1조2,000여억원 투입)도 지난 90년 85.54, 91년 86.12, 92년 86.75, 94년 86. 17, 95년 83.42로 깨끗한 수질을 유지해왔으나 96년 77.60으로 크게 악화됐다 97년78.03, 98년 79.30, 99년 80.46으로 조금씩 개선되는 추세다. 이와 함께 지난 90년 75.76점 수준에 머물던 영산강(6,826억원 투입)도 91년 79.53, 92년 79.03, 93년 79.17로 다소 개선됐지만 94년의 72.32를 시작으로 95년 71.37, 96년 70.58, 97년 65.54, 98년 69.90으로 악화되다 지난해 73.95로 약간 회복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한강으로 연결되는 안양천과 중량천은 지난 94년 16점에서 매년 꾸준히 개선돼 작년에은 31점을 얻었다. 또 낙동강의 지천인 금호강도 지난 95년에는 41점에 머물렀으나 작년에 65점으로 평가돼 수질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영산강의 지천인 광주천은 지난 94년과 96년에는 0점으로 평가됐으나 98년과 99년에는 각각 45점과 62점을 기록해 수질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밝혀졌다. KEI측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의 수질점수는 아직 생태계 파괴나 용수이용이 어려운 한계상황까지는 이르지 않았지만 90년대 초반에 악화된 수질을 아직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고광본기자KBGO@SED.CO.KR 입력시간 2000/03/23 17:07

관련기사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