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무농약이상 친환경인증 면적 3.3→5%로 확대

친환경농업 5개년 계획 발표...4,388억 투자 계획

경기도가 친환경농업 육성을 위해 무농약 이상 친환경인증 면적을 현재 3.3%에서 5%로 늘린다.


이와 함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이력추적관리제를 도입한다.

경기도는 2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친환경농업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도는 우선 ‘경기도 에코 3심(心) 농정’을 운영하기로 하고 2015년부터 2018년까지 22개 친환경 농업 육성사업에 4,388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에코 3심은 안심(安心)농정, 진심(眞心)농정, 양심(良心)농정을 뜻하는 말로 친환경농업 육성을 위해 소비자가 믿고 살 수 있는 시스템 구축(안심), 신뢰성 있는 농산물 생산(진심), 값싸고 편리한 유통 환경 조성(양심)의 3가지 친환경농업 육성전략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도는 설명했다.

‘안심농정’은 소비자가 믿고 구매할 수 있는 친환경 농산물 생산ㆍ유통체계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다.


도는 친환경농산물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소비자와 NGO, 민간인증기관 등이 참여한 ‘친환경암행어사단’을 구성해 투명한 인증관리를 추진한다.

관련기사



또 2016년부터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이력추적관리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소비자들이 친환경농업을 직접 체험하고, 아토피 등 환경성 질환 상담, 교육,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유기농 힐링캠프를 조성하는 등 6개 사업에 92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진심농정’은 도 전체 경지면적 17만6,857ha 대비 3.3% 수준인 현 무농약 이상 친환경인증 면적을 5%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친환경농산물은 유기와 무농약, 저농약 등 3가지로 구분되는데 무농약 이상은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농산물이다.

도는 이를 위해 친환경농업 경작지를 단지화하기로 하고 5ha 이상, 10ha 이상, 600ha 이상 등 3등급으로 나눠 적정한 친환경 농업시설을 지원할 수 있도록 ‘친환경 들녘별 기금제’도입을 추진한다. 또 도는 친환경 적합 토양 만들기, 무농약 이상 과수 재배농가 장려금 지원 등 등 9개 사업에 2,641억원을 투자해 친환경 경작 면적을 늘려나갈 방침이다.

‘양심농정’은 직거래 확대와 친환경 농산물의 소비자 접근성 향상 등 유통의 질을 높이는 방안이다.

도는 친환경 농산물 직거래 확대를 위해 사회적 기업과 연계해 대기업 내 판매장 설치를 추진한다. 도는 기업이 매장 공간을 마련하면 판매대와 저장시설, 리모델링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2018년까지 도내 16개 기업에 판매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친환경농산물 판로 개척을 위해 인터넷몰이나 전자직거래 앱을 활용한 경기 스마트 유기농 시장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이밖도 도는 유기농 전문 Shop 운영 지원, 친환경농산물 매입자금 지원, 친환경 요일장터 운영 등 7개 사업에 1,655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김상경 경기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에코 3심 농정은 기존 생산자 위주의 농업정책이 생산자, 소비자, 유통업자 중심으로 전환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계획대로 추진되면 친환경농산물 생산과 판매, 유통이 활성화돼 소비자와 생산자가 상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