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大·中企 상생협력 실천이 중요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대기업ㆍ중소기업 상생협력’간담회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동반성장하면서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과거 중소기업주간을 맞아 이뤄진 행사들이 대부분 전시성에 그친 것과는 달리 이번 간담회에서는 성과공유제를 비롯해 중소기업지원우수업체에 대한 인센티브제 도입, 대기업이 쓰지않는 특허의 중소기업이양, 중소기업의 대형화를 위한 펀드조성 등 구체적인 실천계획이 논의됐다. 특히 포스코가 도입해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는 성과공유제는 비용절감이나 생산성향상 등을 통해 얻은 이익을 협력업체가 나눠 갖는다는 점에서 대ㆍ중소기업의 상호협력증진은 물론 대외경쟁력강화 등에도 큰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들의 인식은 그동안 많이 달라졌다. 삼성을 비롯해 포스코 ㆍ평양 등 많은 우량 대기업들은 거래업체에 대한 기술지원은 물론 납품대금을 전액 현금으로 결제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등 제조업체들 역시 해외진출에 진출할 때 부품업체와 함께 진출하거나 기술개발시 납품 업체들이 참여해 생산성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앞으로 과제는 일부 대기업들의 상생협력 분위기를 확산시켜 나가는 일이다. 중소기업을 동반자로 인정하지 않고 시혜적인 하청을 준다는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할 경우 우리 기업의 경쟁력 강화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295만여개에 이르는 중소기업은 대부분 아직도 대기업과의 거래에 있어서 알게 모르게 적잖은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 고유가ㆍ임금인상 등으로 대기업들의 실적이 좋지 않을 때마다 울며 겨자먹기로 비용을 떠안고 있는 것은 물론 조그마한 불만을 표시하기라도 하면 하루아침에 거래선이 끊기는 경우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중소기업을 동반자로 인정하고 상생협력 풍토가 조성되기까지 갈 길이 멀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성과공유제, 중기지원실적이 우수한 대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 새로운 제도를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동반성장 풍토가 조성되길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