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미국식 대선 예비선거 도입 검토

◎후보 완전자유경선 당헌·당규 개정 논의/강삼재 총장 밝혀여권은 미국식 예비선거 방식을 도입, 내년 대선후보를 완전 자유경선으로 선출할 수 있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은 이와함께 8개 시·도에서 각 50명 이상 대의원의 추천을 받아야 후보선출경선에 출마할 수 있도록 한 현행 경선규정을 개정하거나 대의원 수를 대폭 늘리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국당 강삼재 사무총장은 19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경선과 관련한 당헌·당규에 대해 전반적인 검토작업을 벌이고 있다』면서 『어떤 방식이 자유경선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인지 광범위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총장은 『새로 도입할 제도가 있다면 우리 실정에 맞게 어떤 방식으로 도입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검토중』이라면서 『미국식 예비선거제도도 검토 대상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강총장은 그러나 『후보선출 시기는 정치적으로 판단할 문제이기 때문에 실무적으로 검토하지 않고 있다』면서 『후보 조기가시화는 부작용과 폐해가 적지 않다고 본다』고 말해 후보선출을 위한 조기 전당대회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여권 고위관계자도 『미국식 예비선거제나 대의원수 증원 및 후보추천 규정 개정등 현행 경선방식을 개정하는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면서 『이 가운데 어떤 방식이 민주적이고 대선승리에 도움이 될 것인지를 신중히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식 예비선거제를 도입할 경우 전국위원회를 소집, 당헌을 개정해야 하며 대의원수를 늘리거나 후보추천 규정을 개정하는 것은 전국위 소집없이 당규만 개정하면 된다』고 말해 경선방식에 대한 깊숙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현행 당헌·당규에 따르면 신한국당 대선후보는 전당대회에서 선출되나 미국식예비선거제가 도입될 경우 전국 15개 시·도지부별로 각각 경선을 실시해 대선후보를 선출하게 된다. 미국식 예비선거제는 그러나 당내 지지기반이 취약한 일부 대선주자들이 『예비선거 과정에서 방대한 자금이 소요될 것』이라며 반대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황인선>

관련기사



황인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