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30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2.1% 늘어 3월 이후 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4월과 5월에는 각각 전월 대비 0.6%와 1.2% 감소했다.
6월의 전월 대비 전산업생산 증가율(2.1%)은 2011년 3월(4.1%) 이후 39개월 만에 최대치다.
다만 2·4분기 전체로 살펴보면 광공업과 건설업·서비스업·공공행정 등 모든 부문에서 전기보다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해 회복세로 돌아섰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는 설명이다.
6월 광공업생산은 2009년 9월(3.7%) 이후 57개월 만에 최대치인 2.9%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등 기저효과와 함께 모바일용 반도체의 국내외 수요가 있었던 반도체 및 부품(11.2%) 생산이 늘어난 덕이다. 제조업의 재고·출하 비율(재고율)은 119.7%로 전월보다 1.6%포인트 떨어졌다.
경기국면의 변환을 판단할 수 있는 제조업 재고출하 순환도는 출하 증가폭(0.9%→1.0%)과 재고 증가폭(5.6%→8.6%)이 전부 확대된 모습이다.
서비스업생산의 경우 전월 대비 1.6% 증가하며 전달(0.5%)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 및 토목공사가 늘어 전월 대비 2.7% 늘었고 건설수주(경상)도 주택, 사무실·점포, 발전 등에서 늘어 같은 기간 6.3% 증가했다.
그러나 소비와 설비투자는 여전히 부진하다. 6월 소매판매액지수는 승용차 및 가전제품 등 내구재(3.6%) 판매가 늘어나면서 전월 대비 0.3% 증가하는 데 그쳤고 설비투자는 전기 및 전자기기 등이 증가했지만 일반 기계류와 기타 운송장비 등의 투자가 줄어 같은 기간 1.4% 쪼그라들었다.
한편 현재 경기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1포인트 내려가면서 4월(-0.2포인트), 5월(-0.4포인트)에 이어 3개월째 하락세를 보이는 등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다만 앞으로의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2포인트 상승했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산업활동이 4∼5월의 부진에서 다소 개선되는 모습이지만 소비와 투자 등 내수 개선세가 미약하고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가 연속 하락해 경기회복 모멘텀이 약화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