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내 경제] 유가 크게 올라 3월 물가에 촉각

4.11총선을 앞둔 이번주는 정치권 뉴스가 신문 지면을 장식할 전망이다. 대선 전초전이라는 이번 총선의 무게감을 반영하듯 선거전은 과열양상이다. 지난 31일 기준으로 선거법 위반으로 적발된 건수가 1,032건으로 1,000건을 넘어섰다.

제1당을 사수하려는 새누리당과 1당 탈환을 노리는 민주통합당은 '총리실 민간인 불법사찰 의혹'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과 정치적으로 결별한 새누리당은 '철저한 수사'를 외치며 민심이반을 차단하려 애쓰고 있고, 통합민주당은 '대통령 하야'를 거론하고 있다.


정치권의 관심은 민간인 사찰 의혹에 쏠려 있지만, 그에 못지 않게 총선에 영향을 미칠 변수는 '물가'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하는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2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축산물 가격 하락과 '기저효과' 등으로 14개월래 가장 낳은 수준인 3.1%로 내려앉았다. 하지만 전기ㆍ수도ㆍ가스 등 공공요금과 집세가 5% 이상 오르는 등 서민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체감물가는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더구나 국제유가가 3월부터 배럴당 120달러를 넘어서는 등 불안한 움직임을 지속하고 있어 3월 소비자물가는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소비자물가에 2~3개월 선행하는 생산자물가도 9일 발표된다. 생산자물가상승률은 최근 3%대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다시 상승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총선을 앞두고 금융당국 수장들이 '중소기업ㆍ서민금융'에 올인하는 가운데, 금융위원회는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 신설방안'을 발표한다. 코스피나 코스닥시장 상장 요건을 갖추지 못했으나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의 자금조달에 숨통을 틔어주기 위한 방편이다. 하지만, 시장 개설의 전제조건인 '자본시장법 개정'이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공염불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 않다.

금융감독원이 매년 발표하는 '주채무 계열' 선정 결과도 관심거리다. 주채무계열이란 총 신용공여액(1,400조원)의 0.1% 이상을 사용하는 대기업 집단으로, 금감원은 이들 기업의 재무구조를 평가해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한뒤,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단행한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최근 실적 악화로 고전하는 건설ㆍ조선ㆍ해운 관련 대기업집단 2~3곳이 추가 약정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