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反기업정서 학교교육으로 풀어야"

‘반(反)기업 정서’를 학교교육을 통해 정공법으로 풀어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재계에서 제기됐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일본의 반기업 정서 배경과 대응’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국내의 반기업 정서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문어발 확장, 정경유착 등에서 비롯됐지만 일본의 경우 학교교육을 통해 반기업 정서가 상당 부분 해소됐다고 설명하면서 “현재 심각한 반기업 정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을 통한 경제교육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경련은 이 보고서를 통해 “일본의 경우 전후(戰後) 공업화 과정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반기업 정서는 지난 70년대 초 잇따른 공해 관련 소송과 일부 기업의 비윤리적 행동(매점매석 및 토지 투기 등)이 폭로돼 크게 악화됐고 80년대에는 리크루트 수뢰사건, 90년대 대형 금융 비리사건이 발생, 기업의 윤리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일본의 산업계는 적극적인 환경 및 소비자대책과 함께 산학이 협력해 ▦대학에서 경제교육 기부 강좌를 실시하는 한편 ▦교원대상 민간기업 연수 프로젝트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펼쳐 일본의 반기업 정서는 70년대 후반을 정점으로 서서히 완화돼가고 있다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전경련은 따라서 반기업 정서가 팽배한 우리나라도 일본의 사례를 거울 삼아 교육계와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강화해 ‘학교교육을 통한 반기업 정서 해소방안’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석중 전경련 상무는 “반기업 정서의 해소는 민간의 노력만으로는 힘이 부치는 일이므로 정부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현재 공교육을 통해 반기업 정서가 해소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민간 부문을 주축으로 운영되고 있는 경제교육을 적극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