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경제 설문, 초선의원 "李대통령 '나홀로 정치' 바꿔라"

서울경제, 초선의원 정국현안 설문… 盧 전대통령보다 오기 더해 지지율 하락 자초<br>각료들 일할수있게 전면 시스템 정비 필요… 野 64%" 쇠고기-원구성 연계 반대" 쓴소리


“이명박 대통령 주변에 예스맨들뿐이에요. 대통령이 내 사람 남의 사람 따지지 말고 과감하게 인적쇄신을 해야 여론을 바로 읽을 수 있어요.”(한나라당 친이계 초선 의원) “쇠고기 문제가 중요하기는 합니다만 국회를 놀려서는 안 되죠. 쇠고기 풀겠다고 (국회) 원구성 협상과 연계시키면 국회 문을 열지 말자는 얘기잖아요.”(통합민주당 초선 의원) 30일 임기를 시작한 18대 국회 초선 의원들이 당파를 초월, 정국 해법을 위한 고언을 쏟아냈다. 이들은 국정쇄신 방향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미국산 쇠고기 파문, 공기업 민영화 등 정국의 난제들을 놓고 실시한 전화설문조사 과정에서 소신 발언을 거침없이 퍼부었다. 설문을 마친 뒤에도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며 10분 이상 정부와 당 지도부를 비판한 의원들이 많았다. ◇쏟아지는 인적쇄신론, “나 홀로 정치를 바꿔라”=특히 이 대통령의 새 출발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심지어 여당의 친이계 초선 의원들 사이에서도 “국무위원들이 허수아비냐. 왜 대통령에게 바른 소리를 못하느냐” “대통령이 스스로 인적 장막에 갇혔다”며 전면적 인적쇄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터져나왔다. 여당의 초선 설문 응답자 57명 중 인적쇄신까지 포함한 전면적 국정쇄신론자는 무려 57.9%(33명). 여기에 제한적 국정쇄신론 응답자(40.4%, 23명)까지 합하면 거의 모든 여당 의원이 국정쇄신을 강력히 희망한 것이다. 현 시스템의 정착을 주장하는 여당 응답자는 1명에 불과했다. 야당 의원들의 고언은 한층 더 날카로웠다. 민주당의 한 수도권 초선 의원은 “대통령이 혼자 다하려하니까 총리도 장관도 유명무실해지고 있다”며 “인적쇄신만으로도 불충분하고 국무위원들이 일할 수 있도록 전면적인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자유선진당의 한 의원은 “MB(이 대통령)의 오기가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더 한다”며 “지지율 하락을 자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초선 의원 85%, “FTA 비준 해 넘기면 안 돼”=이번 설문에서 또 한 가지 주목할 것은 초선 의원 10명 중 8명꼴로 한미 FTA 비준이 해를 넘겨서는 안 된다는 데 공감했다. 국회 비준안 처리에 대해 늦어도 오는 9월 정기국회까지 하느냐, 아니면 보완대책 등을 마련해 연말께 하느냐의 차이는 있었지만 응답자 83.3%인 75명이 올해 안에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채로운 것은 여당 초선 의원들 중에서도 시기에 구애받지 말고 미 의회의 (FTA 비준 여부) 동향에 맞춰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10%(5명)에 달했다는 점이다. 이는 야당 강경파와 맥이 통하는 의견이어서 여당 원내 지도부에게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 공전 안 된다”, 당찬 목소리도=야권 지도부도 초선 의원들의 비판 대상이었다. 야당 초선 의원 52명에게 국회 원구성 문제와 쇠고기 문제를 연계시키는 것에 대해 의견을 묻자 응답자 28명 중 64.3%(18명)가 반대했다. 이는 두 가지 사안의 연계를 검토 중인 야당 지도부로서는 신중해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민주당 비례대표인 한 초선 의원은 “쇠고기 문제가 위중하다는 것은 알지만 그렇다고 국회를 공전시키면 민생을 어떻게 챙기겠느냐”고 지적했고 자유선진당의 한 초선 의원은 “쇠고기와 원구성 협상은 서로 별개의 함수여서 이를 연계시키면 여론의 역풍을 살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공기업 민영화 방안을 묻는 질문에 대해 “에너지 등 기간산업 분야 민영화는 유보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73.3%인 66명에 달해 정부 방침에 대체로 공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