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올 집값 상승 '톱10' 부산·경남 싹쓸이

매매·전셋값 상승률 상위 부산 지역 휩쓸어 일산 서구 매매·전셋값 모두 하락률 1위 올 한 해 아파트 값과 전셋값은 어느 지역이 많이 오르고 내렸을까.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가운데 매맷값 상승률 1~10위는 부산과 경남지역이, 전셋값 오름폭 상위권에선 부산과 대전이 거의 싹쓸이했다. 반면 매맷값이나 전셋값 하락률이 높은 곳은 대부분 경기지역인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국민은행이 발표한 주택 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들어 이날까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평균 2.5% 올랐다. 서울은 강북 14개 구가 2.7%, 강남 11개 구가 1.8% 떨어져 평균 2.2% 하락률을 기록했다. 경기지역은 3.4% 내렸다. 광역시는 평균 6.4% 오른 가운데 부산이 16.2%로 상승폭이 가장 컸고, 대전 9.2%, 울산 4%, 광주 3.5%, 대구 1.9% 순이었다. 인천은 2.8% 내렸다.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 지방은 7.8% 올랐다. 기초 지자체로 보면 부산 사상구와 경남 김해가 두 지역을 잇는 경전철의 내년 4월 개통과 녹산국가산업단지 조성을 호재로 각각 25.3%, 23.1% 치솟아 전국 1, 2위를 차지했다. 또 낙동강변 화명지구 조성, 거가대교 및 구포대교 개통, 화명대교 완공(2011년 예정) 등의 호재가 겹친 부산 북구가 20.5%, 부산신항 준공과 을숙도 대교 개통, 부산지하철 1호선 2단계(다대선) 착공 등의 재료가 많은 부산 사하구가 20.1% 뛰었다. 이어 창원(19.2%), 전주 덕진구(18.2%), 부산 진구(17.5%), 진해(17.4%), 부산 남구(17.1%), 전주 완산구(16%)도 상승률에서 10위권에 들었다. 반면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은 경기 일산 서구로 8.4%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어 양주(-7.1%), 과천(-7.1%), 일산 동구(-6.8%), 파주(-6.3%), 의정부(-6%), 경기 광주(-5.8%), 김포(-5.7%), 서울 도봉구(-5.2%), 고양 덕양구(-5.1%) 순이었다. 서울에서는 25개 자치구 가운데 한강변 유도정비구역 종합계획이 발표되면서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 심리가 높아진 서초구가 유일하게 0.4% 올랐고 다른 구는 모두 떨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