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안철수硏 "1분기 신종 악성코드 최다"

올해 1.4분기 중 국내에서 발견된 신종 악성코드가 최다치를 기록했다. 13일 안철수연구소[053800]에 따르면 올해 1.4분기에 국내에서 새로 발견된 악성코드는 765개로 작년 동기의 691개에 비해 11% 증가했다. 이는 집계가 시작된 1988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로 지난 2000년 1.4분기에 176개가 발견됐던 악성코드는 2001년과 2002년 1.4분기에 각각 36개와 31개로 주춤하다2003년에 316개로 급증하기 시작했다. 종류별로 웜은 503개였으며 트로이목마는 208개, 드롭퍼 10개, 스크립트 5개,파일 1개 등의 순이었으며 기타 악성코드가 38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1.4분기에 비해 웜만 증가하고 트로이목마 등 나머지 악성코드는 감소한 것이다. 피해 신고 측면에서는 2004년 최악의 웜인 넷스카이.29568이 올 1.4분기에도 가장 많은 피해를 일으켰으며 윈도 취약점을 통해 감염되는 새서 웜이 그간 수그러들었다가 올 1분기에 다시 급증했다. 사용자가 직접 신고한 건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매긴 결과 넷스카이.29568 웜이전체 악성코드(스파이웨어 제외) 신고 건수(6342건)의 24.3%(1539건)를 점유, 최악의 악성코드로 나타났다. 이어 넷스카이 변종 3개가 나란히 2~4위를 차지했고 새서.15872 웜이 공동 4위에 올랐다. 이번 1.4분기의 주요 특징으로 ▲여러 악성코드의 결합에 따른 보안 위협의 통합화 ▲스파이웨어와 악성 IRC봇 웜의 지속적 강세 ▲은폐형 악성코드, 스파이웨어증가 ▲피해를 많이 준 악성코드가 특정 몇 개에 편중되던 과거와 달리 여러 개로분산 되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고 안연구소는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국기헌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