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 내홍 일단 '휴전'

지도부, 친박 김무성 공천신청 접수 결정<br>朴측 30여명 긴급회동 '중재안' 받아들여<br>양측 물밑선 부글부글…갈등 재연될수도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계열의 한나라당 의원들이 지난달 31일 국회서 모여 최근 당내 총선 공천 갈등과 관련,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고영권기자

한나라당 지도부가 지난달 31일 박근혜 전 대표 측 좌장 격인 김무성 최고위원에 대해 공천신청을 받기로 결론 내리면서 당 내홍 사태가 일단 ‘휴전’ 국면에 돌입했다. 하지만 김 최고위원뿐 아니라 양측 의원들에 대한 개별 공천심사가 진행될수록 같은 상황이 반복될 수 있어 한나라당 공천 잡음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평가다. 특히 박 전 대표 측과 공심위 간 자존심 대결 양상으로 치달을 조짐이어서 자칫 대규모 탈당 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 지도부, 김 최고위원 공천신청 받기로=한나라당은 이날 강재섭 대표의 제안으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당 공천규정 3조2항의 해석을 유연하게 해달라는 의견을 공천심사위에 제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나경원 대변인이 전했다. 이 자리에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과 가까운 안상수 원내대표는 “(김 최고위원에 대해) 서류접수조차 거부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며 “공심위가 이 부분에 대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 전 대표 측인 김학원 최고위원도 “당규 3조2항은 피선거권을 제한하는 것으로 위헌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공심위는 이날 오후 긴급회의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하고 당규 개정 문제나 유연한 적용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 박근혜 전 대표 측, ‘휴전’ 수용=박 전 대표와 친박(親朴) 의원 30여명은 이날 국회에서 긴급 회동을 갖고 당 지도부의 중재안을 사실상 수용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박 전 대표는 회동에서 “공심위의 결론에 따라 더 의논할 필요가 있으면 다시 의논하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참석 의원들은 “여전히 우려가 크지만 어제보다 격앙된 분위기가 누그러진 건 사실”이라고 전했다. 박 전 대표 측은 특히 이 당선인 측 원로들이 전날 다양한 경로를 통해 ‘중재’에 나선 정황을 포착하고 “일단 믿어보자”는 기류로 돌아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박 전 대표 측은 “공심위 논의 사항에 대해 안강민 공심위원장이 직접 발표해 오해의 소지를 없애달라”고 촉구했다. ◆ 양측 대결 불씨 ‘활활’=하지만 양측 대립이 물밑에서는 점차 격해지고 있어 언제 폭발할지 모른다는 게 당내 시각이다. 우선 친박 의원들에 대한 개별 심사 과정에서 집단행동 양상이 반복될 것으로 보인다. 박 측 이혜훈 의원은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당선인과 박 전 대표 두 분의 신뢰관계가 훼손될 경우 (친박 의원들은) 행동을 통일하기로 결론을 모았다”며 “앞으로 모든 공천심사 과정을 예의 주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양측 감정의 골은 더욱 깊어질 조짐이다. 친박 의원들은 모임에서 이방호 사무총장의 퇴진 요구 등 강경한 발언을 쏟아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공심위 내부에서 이 당선인 측으로 분류되는 김애실 의원은 이날 공심위 회의에서 “당 지도부가 공심위에 어떤 요구나 권고를 하는 것이 가능한지, 공심위가 권유 사항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의문이며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라고 반발, 양측의 사활을 건 ‘공천전쟁’이 불붙을 가능성은 여전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