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80세 이상 뇌경색 환자 급증

5년새 15.7%나 늘어<br>나머지 연령대선 감소


최근 수년 동안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 환자가 대체적으로 줄어들고 있지만 80세 이상의 최고령층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뇌경색 질환에 따른 진료환자는 2007년 38만23명에서 2011년 43만2,209명으로 5년 동안 13.7%가 증가했다. 같은 기간 진료비도 5,924억원에서 8,651억원으로 늘었다.


2011년을 기준으로 성별로는 남성이 22만2,000명으로 여성(20만9,000명)보다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70대가 35.7%로 가장 많았고 60대(26.9%), 80대 이상(16.5%), 50대(15.3%) 순이었다.

관련기사



특이한 점은 지난 5년 동안 80대 이상 환자만 15.7% 늘었을 뿐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70대(-2.8%), 60대(-10.8%), 50대(-18.0%), 40대(-19.9%), 30대(-14.0%), 20대(-6.7%) 모두 감소했다는 점이다. 남성보다는 여성의 감소폭이 큰 가운데 특히 40대와 50대 여성의 감소율은 각각 29.7%, 26.5%에 달했다.

뇌혈관이 막히면서 뇌신경이 손상을 입는 뇌경색은 어지럼증과 두통 등의 증상이 동반되며 후유증으로 협심증과 심근경색ㆍ폐렴 등이 동반될 수도 있다.

건강보험공단의 한 관계자는 "80대 이상을 제외한 연령층에서 뇌경색 환자 수가 줄어든 것은 건강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고혈압과 당뇨 등 뇌경색의 위험 요인이 잘 관리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