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소비경기 회복세 아직 미약

통계청이 4일 발표한 `6월 및 2.4분기 서비스업활동동향'은 소비가 미약하나마 회복기조를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2.4분기의 도소매는 9분기만에 처음으로 플러스로 돌아섰다. 그러나 소매업은 0.4% 증가에 그쳤고 숙박.음식업은 2개월째 감소세를 나타내소비 회복세를 낙관하기에는 아직 이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7월부터는 주5일 근무제로 인해 서비스업이 위축될 가능성도 적지 않은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소비회복 여전히 미약 2.4분기의 도소매 증가율 2.0%는 2003년 1.4분기의 1.0%이후 9분기만에 처음으로 플러스로 돌아섰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월별로 보면, 도소매는 4월 0.7%에서 5월 3.1%로 높아졌다가 6월에는 2.3%로 둔화됐다. 특히 소매업은 2월 4.1%로 정점을 찍은 뒤 3월 2.1%, 4월 2.0%, 5월 1.3%로 둔화되더니 6월에는 0.4%로 주저앉았다. 숙박.음식점업은 5월 -0.8%에 이어 6월에도 -1.8%로 2개월째 감소세를 지속했다. 육상운송업은 택시요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2.9% 줄었으며 교육서비스업도 2.3%의 감소세를 나타냈다. 문권숙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은 "서비스업이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주5일 근무제 등의 영향으로 이런 추세가 지속될지 장담하기 어렵다"면서 "특히 주5일근무제로 택시.음식점 등의 타격이 크다"고 말했다. ◇ 양극화로 일부업종 호황 서비스분야에서도 일부 업종은 호황세를 나타냈다. 6월 자동차판매는 대형 승용차 출시에 힘 입어 12.5% 증가했다. 숙박.음식점업은 감소세를 보였으나 호텔업은 7.3%의 증가율을 보였다. 최근 주식시장 상승으로 금융관련 서비스업은 21.1% 늘어났다. 이는 작년 3월의28.9%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부동산시장의 활황으로 부동산중개 및 감정업은 22.2%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은 21.5% 성장했고 기계장비 임대업도 12.3%늘어났다. ◇ 전문가들 "본격회복 아직" 경제 전문가들은 내수가 회복되고 있으나 아직 낮은 수준이며 본격적 회복에는시간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내수가 회복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바닥다지기 정도의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2.4분기 이후 본격적인 내수 회복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으나 기대를 충족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내수가 본격적으로 회복되고 일반인들이 내수 회복을 체감하는 데는 어느 정도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삼성경제연구소 이지훈 연구원은 "속도가 그렇게 빠르지는 않지만 증가세가 조금 확대되는 등 소비가 나아지고 있다"면서 "고유가는 환율이 상쇄해주고 있으며 가계부채도 점차 해결되고 있는 만큼 하반기로 갈수록 소비는 더욱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철주 재경부 경제분석과장은 "6월 서비스업 생산 증가율이 5월과 같지만 작년6월 증가율이 높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증가폭이 확대된 것"이라며 "내수 회복세가 서서히 확대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서울=연합뉴스) 재경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